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증권투자업계동향

연금은 AI, 해외는 ETF·ETN…금융투자업계 ‘맞춤 공략’ 분주

NSP통신, 설희 기자, 2025-04-15 18:36 KRX9
#KB금융(105560) #한국금융지주(071050) #삼성증권(016360) #신한지주(055550) #미래에셋자산운용
NSP통신

(서울=NSP통신) 설희 기자 = KB증권은 뉴욕상품거래소(NYMEX) 상장 WTI원유 선물에 투자하는 ETN을 신규 상장한다. 한국투자증권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RA) 일임 운용 서비스를 출시했고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한국투자 앱에 신규 기능을 추가했다. 삼성증권과 신한투자증권은 해외주식 투자자들을 위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퇴직연금 전용 로보어드바이저 ‘M-ROBO’ 출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고 한화자산운용은 PLUS글로벌휴머노이드로봇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를 상장한다. 한국투자신탁운용 ACE 미국S&P500 ETF와 ACE 미국나스닥100 ETF으로 유입된 개인투자자 순매수액이 연초 이후 4000억원을 돌파했고 KCGI 자산운용의 KCGI 코리아펀드 시리즈(채권형 제외)의 수탁고가 3월 말 기준 7618억원 (순자산 기준)을 기록했다.

◆해외주식에 AI까지…증권사, 디지털·리워드 총력전

증권사는 상장지수채권(ETN) 신규 상장, 해외주식 투자자들을 위한 리워드 프로그램부터 AI를 활용한 서비스까지 고객을 잡기 위해 총력전을 다하고 있다. KB증권은 오는 17일 뉴욕상품거래소(NYMEX) 상장 WTI원유 선물에 투자하는 ‘KB S&P 레버리지 WTI원유 선물 ETN B’와 ‘KB S&P 인버스 2X WTI원유 선물 ETN B’를 신규 상장(예정) 한다. KB증권은 국제 유가 변동성이 확대될 때 롱, 숏 포지션을 레버리지로 취할 수 있는 ‘KB S&P 레버리지 WTI원유 선물 ETN B’와 ‘KB S&P 인버스 2X WTI원유 선물 ETN B’를 출시했다. ‘KB S&P 레버리지 WTI원유 선물 ETN B’는 Dow Jones Commodity Index 2X Leverage Crude Oil TR를 기초 지수로 WTI원유 선물의 일변동률을 2배로 추종하여 유가 상승기에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상품이다. ‘KB S&P 인버스 2X WTI원유 선물 ETN B’는 Dow Jones Commodity Index 2X Inverse Crude Oil TR을 기초 지수로 하는 상품으로 WTI원유 선물의 일변동률을 -2배로 추종하여 유가 하락기에 활용할 수 있다. 이 상품은 WTI선물의 성과뿐만 아니라 달러 환율 변동도 상품 성과에 연동되는 환노출형이다.

G03-8236672469

한국투자증권은 디셈버앤컴퍼니와 협력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RA) 일임 운용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번 서비스는 지난해 12월 금융위원회로부터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된 상품이다. AI 알고리즘과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한 이번 RA 서비스는 투자자의 성향에 맞춘 포트폴리오를 자동으로 구성해주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고객은 개인형 퇴직연금(IRP)을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투자 성향에 따라 최적 자산군 비중 배분, 자산군별 분산투자, 맞춤형 포트폴리오 설계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전 세계의 선별된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에 분산 투자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고객의 성향에 따라 총 9개의 RA 상품이 우선 제공될 예정이다. 향후 고객 선택 폭을 넓히기 위해 상품 라인업은 지속 확대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해외주식 투자자의 이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한국투자 앱에 신규 기능을 추가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미국주식 배당정보 제공, 관심종목 시세 알림, 미국주식 커뮤니티, 홈화면 보유탭 오픈 등 실시간 정보 확인과 사용자 경험을 강화한 기능이 새롭게 적용됐다. 또 외화RP 자동매매 개선, 외화가져오기 서비스 확대 등 외화 예수금 활용 및 편의성도 높였다. 새롭게 추가된 ‘미국주식 배당정보’ 기능은 미국 상장 종목의 배당 예정일, 과거 내역, 배당금 정보 등을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어 배당 투자자의 정보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삼성증권이 해외주식 온라인 거래금액에 따라 최대 100만원의 리워드를 지급하는 이벤트를 오는 30일까지 진행한다. 이번 이벤트는 거래금액에 따라 리워드가 차등지급된다. 리워드 혜택은 1억원 이상 거래 시 1만원 부터 500억원 이상 거래 시 최대 100만 원까지 조건을 달성한 고객 전원에게 5월 중 지급된다.

신한투자증권은 해외주식 투자자들을 위한 주식 및 옵션거래 수수료 혜택 이벤트를 시작한다. 해외주식 온라인 거래수수료 이벤트는 미국, 중국, 홍콩, 일본의 해외주식을 온라인으로 거래하려는 고객에게 매매수수료 1년간 우대 혜택과 해당 4개국 통화 환전수수료 1년간 95% 우대율 혜택을 제공한다. 한편 신한투자증권에서 처음 계좌를 개설하는 고객이라면 최대 3만 원 상당의 미국주식을 받을 수 있는 이벤트도 함께 진행 중이다. 미성년자도 이벤트 참여가 가능하며 구글(알파벳A),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테슬라, AMD의 6종목 중 1종목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미국주식옵션 이벤트도 진행하고 있다. 미국주식옵션이란 미국 개별주식 및 ETF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해외옵션상품이다. 신한투자증권 비대면 고객은 이벤트 신청 시 온라인 수수료를 2000 계약까지 무료로 제공한다. 더불어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대행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AI에서 로봇까지…운용업계, 연금·테마 투자 전선 확장

운용업계는 AI 기반 연금관리 솔루션 출시부터 로봇 산업 성장성에 투자하는 ETF 상장까지 투자 전선을 확대하고 있다. 미국 대표 지수에 투자하는 ETF와 국내 우량주식에 투자하는 공모펀드도 성장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여의도 FKI컨퍼런스센터에서 퇴직연금 전용 로보어드바이저 ‘M-ROBO’ 출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인공지능(AI) 기반 퇴직연금 자산관리 전략과 함께 퇴직연금 시장 구조 변화에 대응한 중장기 비전을 제시했다. M-ROBO는 투자자의 연령, 성향, 목표 수익률 등을 종합 분석해 최적화된 포트폴리오를 자동 설계하고, 시장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리밸런싱하는 AI 기반 연금관리 솔루션이다. 단순히 모델 포트폴리오를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 실질적 운용 결정을 자동화해 연금계좌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한화자산운용은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의 성장성에 투자할 수 있는 PLUS글로벌휴머노이드로봇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를 상장한다. PLUS글로벌휴머노이드로봇액티브는 사람처럼 움직이고 현실세계를 인지하고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다. PLUS글로벌휴머노이드로봇액티브 ETF는 미국과 한국을 대표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인 테슬라와 레인보우로보틱스에 약 30%의 비중으로 투자한다. PLUS글로벌휴머노이드로봇액티브 ETF는 휴머노이드 로봇 원가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핵심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에 약 70%의 비중으로 투자한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의 미국 대표지수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2종으로 유입된 개인투자자 순매수액이 연초 이후 4000억원을 돌파했다. 2종의 상품은 ACE 미국S&P500 ETF와 ACE 미국나스닥100 ETF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연초부터 전일(14일)까지 ACE 미국S&P500 ETF와 ACE 미국나스닥100 ETF로 유입된 개인투자자 순매수액은 4139억원으로 집계됐다. ACE 미국S&P500 ETF로 유입된 개인 순매수액이 2332억원, ACE 미국나스닥100 ETF로 유입된 개인 순매수액이 1807억원이다.

KCGI 자산운용의 KCGI 코리아펀드 시리즈(채권형 제외)의 수탁고가 3월 말 기준 7618억원 (순자산 기준)을 기록했다. 이는 1분기 동안 791억원(12%)이 늘어난 수치다. 분기기준으로 2019년 4분기 1212억원 증가 이래 5년 3개월만에 가장 많은 금액이다. KCGI 코리아펀드 시리즈는 KCGI 코리아라는 브랜드로 국내 우량 주식에 투자하는 공모펀드로 2013년 코리아펀드[주식]을 시작으로 스몰캡, 주식혼합형, 채권혼합형 등 9개 펀드가 출시됐다. 대부분 10 년 이상 운용되고 있어 국내 시장에 투자하는 대표적인 장수 공모펀드 시리즈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