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주태거래량이 쪼그라들면서 전금융권 주택담보대출 증감폭이 5개월 연속 줄어들었다.
12일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9000억원 감소했다. 전월 2조원 증가한 뒤 감소세로 전환한 것. 주택거래량이 둔화되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둔화되고 가운데 설 명절, 상여금 유입 등으로 기타대출도 줄어든 영향이다.
은행권으로 좁혀 보면 가계대출은 지난해 12월부터 2개월 연속 감소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지난해 11월부터 1조원대로 낮은 수준을 이어갔다. 다만 지난달 은행권 주담대 증가폭은 1조 7000억원으로 전월(8000억원) 대비 확대됐다. 제2금융권 역시 주택담보대출의 증가폭이 지난해 12월 2조 6000억원에서 지난달 1조 6000억원으로 줄었다.
연초 은행들이 가계대출 취급을 재개했으나 주담대가 크게 못 뛴 이유는 주택매매거래가 둔화됐기 때문이다.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지난해 10월 3만 8000호에서 11월 3만 1000호, 12월 2만 7000호로 감소했다. 수도권의 경우 같은 기간 1만 5000호에서 1만 2000호, 1만호로 줄어들었다.
아파트 전세거래량 역시 지난해 10월 5만 2000호에서 11월 4만 4000호, 12월 4만 1000호로 감소했다.
은행권 주담대 세부 현황을 살펴보면 정책성 대출의 증가폭이 줄었다. 지난해 12월 디딤돌·버팀목 대출 증가폭은 3조 2000억원, 보금자리론 등 대출의 감소폭은 5000억원으로 정책성 대출 증가폭은 2조 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1월에는 디딤돌·버팀목 등 대출이 2조 9000억원 늘고 보금자리론 등 대출이 6000억원 줄어 총 2조 3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증가폭이 줄었다.
은행 자체 주담대는 감소폭이 지난해 12월 1조 7000억원에서 올해 1월 6000억원으로 줄었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은 “은행권 주담대는 연초 영업재개 및 자율관리 완화 등으로 전월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고 정책대출은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중인 만큼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라며 “본격적인 영업개시와 신학기 이사수요 등이 더해져 2월부터는 가계대출이 증가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커 가계부채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주택시장·금리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박민철 한국은행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1월에 설 연휴가 있어 상여금이 앞당겨서 들어왔기 때문에 2월은 기타대출의 감소폭 줄면서 전체 대출 증가할 것”이라며 “주택시장이 전반적으로 가격 하락전환했고 거래량도 줄고 있어 전반적인 금융권 가계대출 둔화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