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김희진 기자 = 연준의 금리 인상과 자산 재투자 축소 물량 확대에 따른 대차대조표 축소, 유럽중앙은행의 QE 종료 임박 등 선진국 통화정책 정상화가 빨라진다.
미-중 무역 갈등과 중국 디레버리징, 유럽 정치 이슈 등이 겹쳐 강 달러 압력이 이어진다.
신흥국조차 자본 유출과 통화 약세 속에 부채 위험이 커져 비자발적으로 통화긴축 대열에 동참한다.
글로벌 통화긴축 국면이 금융시장 패닉과 경기 침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주장이 계속된다.
주요 선진국의 실질 기준금리는 마이너스(-) 권에 있다. 미국 실질 기준금리는 플러스(+)로 전환됐으나 시간당 생산성 증가율과 실질 기준금리 간 격차는 1%대를 유지한다.
연준의 대차대조표가 4.2조달러로 0.3조달러가 줄었어도 시중 유동성의 흡수로 이어진 것은 아니다.
지준창구에 맡겨둔 금융기관의 예치금 감소로 연결되며 화폐발행액은 계속 증가한다. 선진국 공히 은행 대출 증가세가 확대돼 신용창출은 개선될 조짐이다.
통화정책 정상화가 아직 글로벌 유동성 환경의 악화를 초래하지는 않는다.
선진국 통화정책 정상화로부터 오히려 신흥국의 충격이 큰데 신흥국 금융시장의 혼돈이 전적으로 선진국 통화정책 때문만은 아니다.
무역 분쟁과 중국 디레버리징, 이란 경제 제재, 유럽 정치 이슈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트럼프의 무역 분쟁은 최악을 지났고 통화정책 기조 전환을 통해 중국은 부채 축소 속도 조절에 들어갔다.
유가는 통제 범위에 있으며 유럽 정치 이슈도 해결실마리가 보인다.
윤창용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9월부터 신흥국에서 자본 이탈조차 완화되며 글로벌 통화긴축에 따른 불안감이 확산될 위험은 제한적이다”고 분석했다.
본 정보(기사)는 해당 업체에서 제공한 투자 참고용 자료로 NSP통신 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NSP통신/NSP TV 김희진 기자, ang0919@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