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어디로 튈지 모르는 미국의 관세와 우리나라의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기업들이 잔뜩 웅크리면서 은행권 역시 리스크 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한편 은행권의 LTV 정보 공유 담합 의혹을 두고 공정거래위원회는 제재에 착수했다. 다만 여전히 은행권의 반응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2분기, 은행권 중소기업·가계대출 더 깐깐해진다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기조와 은행권의 보통주자본비율(CET1) 높이기 노력이 맞물리면서 중소기업과 가계대출의 문턱이 더 높아질 예정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1분기 대출행태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오는 2분기 국내은행의 대출태도는 중소기업 및 가계에 대해서는 강화되고 대기업은 완화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은행권은 최근 사용하지 않는 부동산 매각에 나서기도 했다. 우리은행은 7개의 부동산을 공개 매각하기로 했다. 국민은행도 7개 점포를 매물로 내놨다. 다만 매각은 수월하지 않은 분위기다.
◆공정위, 4대은행 LTV 담합 의혹 제재 착수
지난 18일 공정거래위원회가 4대 은행에 심사보고서를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따. 공정위는 지난해 11월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LTV(담보인정비율) 정보 공유 담합 의혹에 대해 제재에 착수했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재심사를 결정한 바 있다. 은행들은 이를 두고 “리스크 관리를 위해 타행과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담합이라고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이 정보가 LTV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도 않는다”는 입장이다.
◆외국인 주식자금, 8개월째 순유출
지난해 8월부터 8개월 연속 외국인 투자자의 순유출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금융위기때 이후로 가장 긴 기록이다. 지난 3월 중 외국인의 국내 주식투자자금은 11억 6000만달러 순유출됐다. 순유출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빠져나간 외국인의 투자자금이 들어온 자금보다 많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