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ISA, 가입자 600만·금액 36조 돌파…출시 9년 만

NSP통신, 설희 기자, 2025-03-31 16:16 KRX7
#금융투자협회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절세형계좌 #분리과세
NSP통신-연도별 ISA 총 가입자 수 및 가입금액 현황 (사진 = 금융투자협회)
연도별 ISA 총 가입자 수 및 가입금액 현황 (사진 = 금융투자협회)

(서울=NSP통신) 설희 기자 = 국민의 종합적 자산관리를 통한 재산형성 지원을 위해 정부가 2016년 도입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의 가입자 수가 출시 약 9년 만에 600만 명을 돌파했다. 금액도 36조 원을 넘어섰다.

금융투자협회 조사 결과 지난 2월 말 기준 ISA 가입자 수는 604만 3000명, 가입금액은 36조 5408억 원으로 집계됐다.

ISA는 국내상장주식, 펀드 및 상장지수펀드(ETF), 리츠, 예·적금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하나의 계좌에 모아 투자할 수 있는 절세형 계좌이다.

G03-8236672469

일정기간 경과 후 계좌 내 금융상품 간 이익과 손실을 통산해 순이익을 기준으로 일반형 기준 최대 200만 원(서민형은 최대 400만 원)까지 비과세되고 이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9.9% 저율의 분리과세 혜택이 주어진다.

ISA의 가입자 수와 가입금액은 2021년 가입자가 직접 금융상품에 투자·운용할 수 있는 ‘투자중개형 ISA’가 도입된 이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투자중개형의 가입자 수가 505만 6000명으로 전체의 83.7%를 차지한 반면 2020년말 171만 9000명이었던 신탁형은 85만 1000명이 감소해 2025년 2월 말 86만 8000명(14.4%)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일임형도 22만 명에서 11만 9000명(2.0%)으로 10만 1000명이 감소했다.

금융업권별 가입자 수는 증권사에서만 개설이 가능한 투자중개형의 인기에 힘입어 증권사가 510만 명(84.3%)으로 가장 많았다. 예·적금 중심의 신탁형 가입 창구인 은행은 94만 7000명(15.7%)으로 2020년말 178만 3000명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투자중개형 가입자금의 40.6%는 ETF, 32.8%는 주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신탁형은 예·적금이 95.0%, 일임형은 펀드가 97.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ISA는 전 연령대에서 가입자가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대적으로 금융투자상품에 친숙한 20·30세대 가입자 비중이 투자중개형 도입 이후 2020년말 32.8%에서 2025년 2월말 40.1%로 증가(+7.3%p)했다.

ISA 유형별로는 20·30세대는 중개형(중개형 44%, 일임형 28%, 신탁형 20%)에서 50대 이상은 신탁일임형(신탁형 59%, 일임형 50%, 중개형 33%)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입자 성별로는 20·30세대는 남성이 131만 명으로 여성 111만 명에 비해 많았고 50대 이상은 여성 가입자가 123만 명으로 남성 101만 명에 비해 많았다.

올 초 정부가 발표한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비과세 한도가 일반형 기준 500만 원(서민형 1000만 원)까지 늘어나고 납입한도 역시 연간 2000만 원(총 1억 원)에서 연간 4000만 원(총 2억 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국회에서도 ISA 혜택 확대와 관련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환태 금융투자협회 산업시장본부장은 “ISA는 재테크 만능통장으로 불리며 국민의 자산 형성의 기회를 넓혀준 동시에 실물경제 성장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해왔다”며 “세제혜택 확대와 더불어 가입가능연령이 미성년자로까지 확장된다면 국민 재테크 활성화와 자본시장 선순환 구조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