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유정상 기자 = 국토부가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개인의 토지 소유 가구는 1379만 가구라고 발표했다. 개인토지 소유자 수는 1767만 명이었다.
토지 소유 통계는 토지 소유현황을 파악해 각종 토지정책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자료다. 지난 2006년과 2012년, 2017년, 2018년 현황에 이어 다섯 번째로 공표됐다.
통계는 소유구분, 용도지역 및 지목별로 구성된 일반현황을 비롯해 개인·법인·비법인의 토지 소유현황 등 39종으로 작성됐다. 먼저 소유 구분별로 살펴보면 ▲개인 4만6633㎢(76.0%) ▲법인 6953㎢(11.3%) ▲비법인 7787㎢(12.7%)로 나타났다.
용도지역별로는 ▲농림지역 4만8682㎢(48.5%) ▲관리지역 2만3414㎢(23.3%) ▲녹지지역 1만1458㎢(11.4%인) ▲주거지역 2374㎢(2.4%)였다.
지목별로는 ▲임야 6만3635㎢(63.4%) ▲농경지 1만9916㎢(19.8%) ▲공공용지 1만103㎢(10.1%) ▲대지 3196㎢(3.2%)로 조사됐다.
개인 소유 토지 현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우리나라 전체 주민등록인구 5185만 명 중 1767만 명이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지목별 소유현황은 ▲임야 2만6948㎢(57.8%) ▲농경지 1만6191㎢(34.7%) ▲대지 2528㎢(5.4%) 순이었다.
가구별 토지 소유현황은 총 2248만 가구(주민등록가구) 중 61.3%인 1379만 가구가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통계는 누구나 열람 가능하며 국토부 통계누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토지거래 회전율은 면적 기준으로 세종 1.4%, 경기 1.3%, 인천 1.1% 순으로 토지의 거래가 이뤄졌다. 서울이 0.2%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회전율을 보였다.
NSP통신 유정상 기자 yootop@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