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韓 금융시스템 최대 리스크는 중국 경기 둔화”

NSP통신, 김빛나 기자, 2015-11-15 12:00 KRD7
#한국은행 #금융시스템리스크 #중국경기둔화 #미국금리인상 #대외리스크
NSP통신-(자료제공=한국은행)
(자료제공=한국은행)

(서울=NSP통신) 김빛나 기자 = 우리나라 금융시스템 최대 리스크 요인으로 중국 경기 둔화가 꼽혔다. 이어 미국의 금리 정상화가 두 번째로 높은 응답률을 보이며 전체적으로 대외리스크를 큰 위험요인으로 인식했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시스테믹 리스크(Systemic risk)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는 중국 경기 둔화(90%), 미국의 금리 정상화(72%), 가계부채 문제(62%) 등으로 조사됐다.

지난 상반기 서베이 결과와 비교해 보면 66%의 응답률로 가장 큰 위험요인이었던 가계부채 문제가 이번 분기에는 다소 둔화되고 저성장·저물가 기조의 고착화(64%)는 주요 리스크에서 제외되는 등 대외 리스크에 대한 응답 비중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G03-8236672469

이 중 가계부채 문제와 중국 경기 둔화는 중·단기(3년 이내) 리스크로, 미국의 금리 정상화는 단기(1년 이내) 리스크, 가계부채 문제는 중기(1~3년 사이) 리스크로 인식했다.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은 주요 리스크 모두 큰 것으로 인식됐으나 발생 가능성은 다소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미국의 금리 정상화는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중국 경기 둔화와 가계부채 문제 등은 중간인 것으로 답했다.

응답 기관별로는 다소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중국 경기 둔화와 미국의 금리 정상화 등은 공통적으로 높은 응답 비중을 보였으나 국내은행 응답자는 중국 경기 둔화(90%)에 대한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가계부채 문제(65%), 저성장·저물가 기조의 고착화(55%), 기업 부실위험 증가(50%) 등도 주요 리스크로 인식했다.

반면 비은행금융기관 응답자의 경우 대부분이 가계부채 문제(94%), 중국 경기 둔화(88%) 등으로 주요 리스크를 응답했다.

1년 이내의 단기에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 ‘낮다’는 응답이 44%로, ‘높다’는 응답(15%)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반면 중기(1~3년)에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높다’는 응답(37%)이 ‘낮다’는 응답(19%)를 상회했다.

응답자들은 우리나라의 금융시스템이 대체로 안정성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시스템 안정성 신뢰도(향후 3년간)에 대해 35%가 ‘높다’고 응답한 반면 ‘낮다’는 응답은 11%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9월 30일부터 10월 8일까지 71개 금융기관에 일하는 경영전략 및 리스크 담당 부서장 등 72명과 해외 금융기관 한국 투자담당자 9명 등 총 81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NSP통신/NSP TV 김빛나 기자, kimbn@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