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이동환 고양시장, 시정연설서 혁신적인 미래 도시 비전 제시

NSP통신, 강은태 기자, 2025-02-14 15:30 KRX7
#이동환 #고양시장 #시정연설 #미래 도시 #고양시

“고양시의 운명 바꿀 해답이 일자리임은 명확하다”

NSP통신-이동환 고양시장 (사진 = 고양시)
이동환 고양시장 (사진 = 고양시)

(서울=NSP통신) 강은태 기자 = 이동환 고양시장이 14일 열린 제291회 고양특례시의회 임시회 ‘2025년 업무보고 시정연설’에서 혁신적인 미래 도시 비전을 제시했다.

이 시장은 고양의 미래를 바꿀 여섯 가지 힘으로 ▲기업 ▲인재 ▲소프트 파워 ▲순환교통망 ▲도시정비 ▲안전망을 제안했다.

이 시장은 “고양특례시의 운명을 바꿀 해답이 일자리임은 명확하다”며 기업 유치에 집중한 일자리 창출 방침을 밝혔다.

G03-8236672469

이 시장은 대규모 산업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경제자유구역,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 등 각종 특구를 연결해 기업 유치와 성장 지원을 구체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실투자 수요 확보와 외국인 정주기반 조성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경제자유구역 최종 지정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그간 각종 규제에 갇혀있던 고양시를 기업 많은 도시, 양질의 일자리가 넘치는 도시로 도약시킬 돌파구로 손꼽혀왔던 경제자유구역은 올해 상반기 최종 신청 예정이다.

또 고양의 미래를 바꿀 두 번째 힘으로 이 시장은 “고양이 인재를 키우고 인재가 고양을 키우는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키겠다”며 적극적인 인재 양성을 강조했다.

특히 이 시장은 경제자유구역을 인재 양성 최적지로 삼아 현재까지 다양한 교육기관과 맺은 협약과 확보한 설립의향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색다른 배움, 폭넓은 배움’이 이루어지는 글로벌 교육 환경 조성을 약속했다.

또 지난해 교육 발전 특구 시범지역 선정 이후 교육지원청과 관내 대학, 공공기관과 협력하여 고양형 교육시스템을 발전시키고 교육 도시로 자리매김한다는 방침이다.

이 시장은 세 번째로 고양시를 ‘찾고 싶은 도시’로 브랜딩하기 위한 문화적 ‘소프트 파워’도 빼놓지 않았다.

이 시장은 “킨텍스와 고양종합운동장 등 인프라를 활용해 콜드플레이와 오아시스 같은 세계 최정상 가수들의 공연 및 대규모 국제행사를 유치하고 인근을 글로벌 문화 교류의 중심지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하반기 본공사에 착수하는 킨텍스 제3전시장은 준공되면 총면적이 17.8만㎡로 넓어지는 만큼 CES와 같은 대규모 첨단 전시의 중심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고양시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서울시, 경기도와 협력해 북한산성을 포함한 ‘한양의 수도 성곽’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최종 등재를 체계적으로 추진한다.

네 번째 힘으로 이 시장은 “밖으로는 뻗어나는 교통망을, 안으로는 순환하는 교통망을 설계해 시민들에게 일상의 여유를 선물하겠다”며 교통망 개편 의지를 강조했다.

그 일환으로 제시한 고일로 대곡 연장, 주교-장항 간 연결도로 등은 고양은평선, 신분당선 등 철도 연장과 함께 시민 숙원사업으로 꼽히는 만큼 지속적으로 추진해 향후 증가할 교통 수요에도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다섯 번째로 도시 정비, 기후 대응, 복지에 대한 정책도 놓치지 않고 제시했다.

이 시장은 “도시 경관 축을 살리고 쾌적성을 높여 더 오래 가고 더 균형 잡힌 도시로 정비해 나가기 위해 ‘노후계획도시 정비기본계획’을 마무리할 계획이다”며 “재건축 사전컨설팅, 창릉천 통합 하천 사업 등 도시의 골격이라 할 수 있는 물길과 숲길을 튼튼하게 세우겠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장애물 없는 보행로 만들기, 미니 수소 도시 조성 등 안전·환경 정책 추진 방침도 밝혔다. 고양시민복지재단을 통한 고양형 복지시스템을 구축하고 AI·빅데이터를 확대 도입해 새로운 고양시의 미래를 만들어가겠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 시장은 “올해는 고양시가 특례시 승격 3주년을 맞이하는 가장 좋은 때다”며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시민의 행복을 위해 시의회와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시민을 위한 시책 추진 의지를 강조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