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부산 생곡쓰레기매립장, 첨단재활용단지로 탈바꿈

NSP통신, 도남선 기자, 2013-04-09 10:46 KRD7
#생곡 #쓰레기매립장 #자원순환시설 #하수슬러지 #음식물쓰레기

생곡쓰레기매립장 일원(116만㎡),‘생활폐기물 연료화(RDF) 및 발전시설’ ‘하수슬러지 육상처리시설’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시설’등 8개 자원순환시설이 집적된 첨단 재활용단지로 변신

NSP통신-생곡 자원순환시설 조감도. (부산시 제공)
생곡 자원순환시설 조감도. (부산시 제공)

[부산=NSP통신] 도남선 기자 = 부산시가 강서구 생곡 쓰레기 매립장 일원을 첨단 자원순환시설이 집적된 재활용 단지로 조성하고 있다.

도시에서 배출되는 쓰레기 모두를 재활용 할 수 있게되는 ‘꿈같은 이야기’가 부산에서 실현되고 있는 것이다.

9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현대사회에서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이 쓸모없는 쓰레기가 아니라 돈이 되는 자원으로 인식해 환경오염도 예방하고 지방재정에도 보탬이 되는 1석 2조의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생곡 쓰레기 매립장 일원을 첨단 자원순환시설이 집적된 재활용 단지로 조성하고 있다.

G03-8236672469

생곡 일대 자원순환시설의 핵심시설인 ‘생활폐기물 연료화(RDF) 및 발전시설(이하 발전시설)’이 올해 10월 완공을 앞두고 있다.

발전시설은 지금까지 생곡쓰레기 매립장, 다대소각장 등에서 매립이나 소각으로 처리해 오던 가연성 생활폐기물 처리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쓰레기를 태워서 전기를 생산한다.

9일부터 시험운영 중인 발전시설은 생곡매립장 진입로 인근부지 67천㎡에 사업비 2400여억 원이 투입돼 조성됐다.

이 발전시설은 하루 900톤의 생활 폐기물을 연료화 할 수 있어 국내 최대규모를 자랑한다.

시는 이 시설을 통해 쓰레기를 태워서 시간당 25메가와트의 전기를 생산판매해 연간 250여억 원의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750억을 투입한 ‘하수 슬러지 육상처리시설’을 통해 하루 550톤 하수 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게 되고 연간 5억원의 수익을 올릴 것을 보인다.

지구 온난화 방지와 자원 재활용을 위해 부지 2,772㎡에 현재 운영 중인 ‘매립가스(LFG) 발전시설’은 생곡매립장에서 나오는 메탄가스를 태우거나 버리지 않고 한곳에 모아서 전기를 생산하는 시설이다.

시간당 5메가와트의 전기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를 한전에 판매하여 연간 20여억 원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부산시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처리하고 이때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로 전기를 생산하는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시설’은 하루 200톤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다.

부지 3636㎡에 조성된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시설’은 시간당 2메가와트(연간 7283메가와트)의 전기를 생산 판매해 지난해에 7억7000만 원의 수익을 올렸다.

이 밖에 자원 재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부지 15천㎡에 운영하고 있는 ‘자원 재활용센터’는 부산시내에서 수거된 재활용품을 하루 340톤을 선별 처리해 연간 매출액이 150여억 원에 달하고 있다.

폐비닐을 활용해 유류를 생산하기 위해 부지 6612㎡에 운영하고 있는 ‘폐비닐 유화시설’은 부산시내 전역에서 수거된 폐비닐을 모아서 하루에 30톤을 처리하고 있다.

이때 생산되는 경유 15톤과 단단한 모양의 연료 3톤을 공장 난방용으로 판매하며 연간 40여억 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특히, 부산시는 이러한 시설들과 함께 재활용 산업 집적화 및 부산권 폐자원 순환망을 구축하기 위해 생곡매립장 진입로 인근 부지 313천㎡에 사업비 3280억원을 투입해 ‘자원순환 특화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오는 2014년 12월에 특화단지가 완공되면 자원순환협력센터와 김해공항 주변을 비롯한 부산시내 곳곳에 흩어져 있는 철 스크랩 등 5개 업종 70여 개 업체가 입주할 예정으로 폐자원의 효율적인 고부가가치 생산체계를 갖추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업체간 상호 정보교류 활성화를 통해 재활용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에 있는 재활용 업체가 시 외곽에 이전되어 도시미관을 개선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생곡쓰레기 매립장은 부지면적 748천㎡에 매립용량 2만4494천㎥규모로 지난 1996년 4월부터 1단계 매립을 시작하여 2005년 말에 완료했다.

오는 2031년까지 차기 매립장사업(2~5단계)이 추진 중인 가운데 앞으로 소각이 가능한 폐기물은 전량 소각해 전기를 생산키로 함에 따라 불연성 폐기물만 매립할 계획으로 있다.

이에 따라 차기 매립장사업 완료가 2031년보다 10년 이상 연장될 것으로 전망돼 안정적인 폐기물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는 생곡 일대에 자원순환시설이 모두 들어서면 국내에서는 유일하며 세계에서도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운 명실상부한 첨단 재활용단지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남선 NSP통신 기자, aegookja@nspna.com
<저작권자ⓒ 국내유일의 경제중심 종합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