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최정화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와 컨트롤타워 재건에 대한 찬반 논쟁이 재점화되는 분위기다. 최근 삼성이 위기 상황에 놓인 만큼 책임경영 강화를 위해 이 회장의 등기임원 복귀와 컨트롤타워 재건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반면 투명한 지배구조 확립 차원에서 이 회장의 사법리스크는 걸림돌이 될 것이고 컨트롤타워 재건 역시 지배구조 투명성을 흐릴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위원장은 18일 오전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3기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와 컨트롤타워 재건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사법리스크라고 하지만 재판 결과가 나올 때까지 책임경영에 최선을 다하는 게 옮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컨트롤타워 재건에 대해서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확실하게 말씀드릴 수 있지만, 위원회나 삼성 안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있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지난 15일 2023년 연간 보고서 발간사에서도 “경영 판단의 선택과 집중을 위한 컨트롤타워 재건, 조직내 원활한 소통에 방해가 되는 장막의 제거, 최고경영자의 등기임원 복귀 등 책임경영 실천을 위한 혁신적인 지배구조 개선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지난 2월 5일 1심에서 제일모직 삼성물산 합병으로 인한 부정거래와 회계 부정 등 19개 혐의가 모두 무죄로 판결됐고 현재 2심 재판 중이다.
◆ 찬, 오너의 신속한 의사결정…반, 옥상옥·사법리스크·지배구조 우려
재계와 업계 안팎에서는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와 컨트롤타워 재건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일각에서는 삼성전자 위기론이 점차 심화되는 상황에서 국내 5대 그룹 총수 가운데 유일하게 미등기 임원인 이 회장이 등기이사에 복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NSP통신에 “사법리스크가 있는 상황에서도 총수가 이사회에 참여하는 것이 더 필요한 시기라고 판단한 것 같다”며 “아무래도 대규모 투자 등 장기를 바라보는 의사결정의 경우 즉각적은 성과를 보여야하는 전문경영인 보다는 오너가 의사결정에 대한 부담이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라고 답했다.
하지만 또다른 일각에선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구와 컨트롤타워 재건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이 두가지로 삼성전자 위기가 해결된다는 주장은 억측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박주근 리더스인덱스 대표는 NSP통신과의 통화에서 “삼성 컨트롤타워 역할은 그룹 계열사들 간 조율을 통해 시너지 역할을 하는 것이지 삼성전자만을 위한 컨트롤타워는 아니다”라며 “현재 삼성전자 컨트롤타워는 삼성전자 사장단들이 있는 상태고 옥상옥 구조를 만들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또 “사실상 삼성전자가 위기지 삼성그룹 전체 위기는 아니기 때문에 삼성그룹 컨트롤타워가 삼성전자 위기 돌파구 마련책이라고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라고 꼬집었다.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에 대해서 박 대표는 “책임경영 차원에서 이 회장이 등기이사에 올라가는 건 맞지만 그렇다고 이 회장이 등기이사에 올라가지 않아서 삼성전자에 위기가 온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또 글로벌 컨설팅업체 한 관계자는 이 회장의 사법리스크와 지배구조 투명성 제고 등을 고려해 의견을 냈다.
이 관계자는 NSP통신에 “(이 회장이) 사면 복권됐지만 지금 진행되는 소송도 있고 사법리스크가 말끔하게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다시 이사회에 진입하게 될 경우 해외 기관투자자들이나 위험분석 기관들 상당수가 부정적으로 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컨트롤타워 재건과 관련해서는 “과거 삼성의 미전실(미래전략실)처럼 한 조직이 모든 의사결정을 하는 방식은 현재 삼성이 추구하는 투명한 기업지배구조와는 맞지 않는 체계다”라며 “각 관계사 대표들이 컨트롤타워 구성원으로 조직돼 그들의 의견이 이사회에 반영되는 게 아니라 옛 방식의 컨트롤타워는 지배구조상 문제가 될 것”이라고 짚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