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한국 대표 해마, 87년 만에 ‘잘못된’ 이름 대신 새 이름 얻는다

NSP통신, 차연양 기자, 2015-06-11 12:26 KRD7
#해마 #히포캄푸스 #코로나투스 #한상윤 #부경대

한상윤 부경대 연구원, 한국·일본 해마 표본 연구결과 발표...우리 대표 해마 종(種)으로 알려진 개체 히포캄푸스 코로나투스 우리 종 아닌 ‘일본 종’

NSP통신-연구를 통해 히포캄푸스 코로나투스라는 잘못된 이름으로 불려지던 우리 해마 종이 신종임을 밝혀낸 한상윤 부경대 해양생물학과 연구원(석사2년). (부경대 제공)
연구를 통해 히포캄푸스 코로나투스라는 잘못된 이름으로 불려지던 우리 해마 종이 신종임을 밝혀낸 한상윤 부경대 해양생물학과 연구원(석사2년). (부경대 제공)

(부산=NSP통신) 차연양 기자 =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으로 서식하는 해마의 종(種)이 그간 알려진 ‘히포캄푸스 코로나투스(Hippocampus coronatus)’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한상윤 부경대 해양생물학과 한상윤 연구원(29, 석사2년)은 논문 ‘한국산 해마, Hippocampus coronatus의 잠재적 다양성’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해마라고 부르는 종은 히포캄푸스 코로나투스가 아닌 새로운 종(신종)이라고 발표했다.

신종이란 자연에서 처음 발견됐거나, 기존에 보고된 다른 종과 혼동돼 오다가 유전분석과 형태정밀분석에 의해 새로운 학명과 한국명을 부여받는 종을 말한다.

G03-8236672469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남해와 동해 남부 해역에 주로 서식하는 해마는 화관(정수리에 난 뿔 모양의 돌기)의 길이가 주둥이 길이의 절반밖에 안 되지만, 히포캄푸스 코로나투스의 화관은 주둥이만큼 긴 길이를 가지는 등 형태적, 유전적으로 명확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연구원은 “부경대 어류학실험실을 비롯해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일본 카나가와 현립 자연사 박물관, 교토대학교 수산연구소에 보관된 우리나라와 일본의 해마 표본 182마리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며 “히포캄푸스 코로나투스는 우리나라가 아닌 일본 태평양 해역에서만 발견됐다”고 말했다.

NSP통신-한 연구원의 연구 대상이 됐던 해마신종 기준 표본(Holotype)(사진 왼쪽)과 히포캄푸스 코로나투스의 모습. (부경대 제공)
한 연구원의 연구 대상이 됐던 해마신종 기준 표본(Holotype)(사진 왼쪽)과 히포캄푸스 코로나투스의 모습. (부경대 제공)

지금까지 우리나라에는 6종의 해마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히포캄푸스 코로나투스는 지난 1928년 일본 어류학자 모리에 의해 우리나라에 사는 것으로 보고된 이후 우리나라의 대표 해마라고 인정돼 왔다.

이번 연구결과에 따라 한 연구원이 밝힌 해마 신종은 국제분류학저널에 새로운 이름으로 정식 등록될 예정이다.

우리나라 대표 해마가 87년 만에 새 이름을 얻게 되는 것이다.

김진구 지도교수(부경대 자원생물학과)는 “신종을 발굴한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생물자원 주관 확보에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 연구원은 이번 연구로 지난달 22일 군산대에서 열린 사단법인 한국어류학회(학회장 최윤) 2015년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 발표상을 수상했다.

NSP통신/NSP TV 차연양 기자, chayang2@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