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NSP통신 도남선 기자) = 부산시교육감 예비후보가 난립한 가운데 지난 7일 한 지역언론사를 통해 ‘적합도’를 묻는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된 이후 부산교육감 판도가 크게 요동치고 있다.
현재 8명에 달하는 보수교육감 후보군들의 향후 거취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일부 후보는 후보등록일인 15일 이전에 거취를 정리하기 위한 수순에 들어갔다는 설이 나돌고 있으며 임혜경 현 교육감과 박맹언, 정승윤, 김석준 등 외 1~2명 정도가 본선에 나갈 후보로 남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이런 가운데 특수부검사출신의 정승윤 예비후보(47, 부산대로스쿨교수)가 여론조사 결과의 공정성에 대해 날선 비판을 하고 나섰다.
정 후보는 “한 마디로 이번 여론조사는 부산교육감후보에 대한 여론조사로서의 아무런 의미도, 가치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또한 “‘부산시장후보 지지도, 대통령에 대한 국정운영, 세월호 침몰 사고가 지방선거에 미치는 영향 정도’ 등 정치적인 설문들 속에 교육감선거 항목을 끼워넣기 함으로써 정치중립적인 교육감선거를 정치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게 만드는 우를 범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나아가 “부산시장선거와 달리 교육감선거에 나선 후보가 9명이 되는 상황임에도 유독 김석준, 박맹언, 임혜경 등 세 사람만으로 한정해 다자대결과 양자대결 항목을 구성한 것에 혹시 정치적인 의도가 개입한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정 후보는 또 “이번 여론조사는 50대 이상 28.6%, 60대 이상 41.6% 등 5~60대가 70.2%나 반영된 결과이다. 또한 자녀교육에 관심이 많은 학부모인 3~40대 젊은 층의 의중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채 실제 학부모가 아닐 확률이 높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인지도조사”라고 지적했다.
정 후보는 “여론조사는 유권자의 알권리를 위해 중요한 만큼 편파적인 조사는 유권자에게 그릇된 정보를 전달해 민의를 왜곡할 소지가 크다”며 “여론조사기관들이 편의에 따라 조사를 진행함으로써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 기준을 흐리게 해 선거공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정 후보 측은 또 “엄연히 존재하고 있는 최석태 예비후보를 배제한 채 설문조사를 진행한 의도를 이해하기 어렵다”고도 했다.
한편 이와 관련해 국제신문은 9일 오후 “최석태 후보가 여론조사에서 제외된 점에 대해 사과한다”고 보도했다.
정승윤 후보 측이 제시한 이번 부산교육감 여론조사(5월 5, 6일 양일간 리서치앤리서치)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재택률이 높아 자연히 응답률이 높은 5~60대 이상 고연령층이 70.%나 포함된 여론조사이다.
이이 따라 두 차례에 걸쳐 민주노동당후보(2002년 제3회, 2006년 제4회)로 부산시장선거에 출마했던 김석준 후보가 높은 적합도로 나타났다.
실제로 통계청이 발표한 2009 국민생활시간조사에 따르면 전화조사가 주로 이루어지는 시간대에 집에 있는 경우가 20대와 30대는 각각 21.8%와 30.6%인 반면에 50대는 33.3%이며 60대 이상은 60.9%로 높아진다.
이번 조사에서도 40대 이하의 목표할당을 55%로 잡았지만 실제로는 29.8%만 반영된 것으로 나왔으며 당초 45%를 할당했던 50대 이상이 70.2%나 반영됐다.
▲실시 당일인 5일과 6일 현재 9명이었던 예비후보 중 유독 김석준, 박맹언, 임혜경 세 후보를 임의로 선정해 3자대결, 양자대결의 방식으로 설문을 구성함으로써 나머지 예비후보들을 배제했다.
이 경우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접한 유권자들은 이들 세 사람을 당선이 유력한 후보로 인식할 개연성이 크다. 또한 이 결과가 언론을 통해 보도됨으로써 설문에 응하지 않은 불특정 다수가 이에 영향을 받게 된다.
▲삼자대결, 양자대결의 방식으로 두 번의 질문을 한 뒤 마지막 세 번째에 전체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적합도를 물었다.
이 경우 앞서 두 번씩이나 거명된 김 교수와 임 교육감에게 가장 유리하며, 다음으로 1회라도 거명된 박맹언 후보가 유리하다고 예상할 수 있는데 실제 결과도 김석준, 임혜경, 박맹언의 순으로 나왔다.
▲세 후보는 이름과 함께 직함을 소개했지만 나머지 후보들에 대한 적합도를 묻는 항목에서는 아무런 후보자의 직함을 소개하지 않고 이름만 나열했다.
또 8명 후보군에 적용한 보기의 순서에 대해서는 공정성에 의구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조사를 진행한 리서치앤리서치에서는 보기를 로테이션으로 들었다고 밝히고는 있지만 후보 9명에 모름과 무응답을 포함하면 10개인 보기를 동일한 횟수로 제시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aegookja@nspna.com, 도남선 기자(NSP통신)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