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NSP통신) 남정민 기자 = 전남 순천시 풍덕지구 도시개발사업 부지에서 사용된 토사의 성분과 처리 절차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일부 조합원들과 지역 주민들은 해당 토사가 순환골재 기준을 충족했는지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요구하며 직접 현장 확인을 희망하고 있다.
해당 부지에 공급된 자재는 '순환골재'로 분류됐지만 실제로는 바다 뻘과 유사한 물질이 포함된 토사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 자재들은 일부 폐기물 처리 업체를 통해 공급됐으며 'D환경'과 'H산업' 등의 업체가 관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계약 단가가 일반적인 처리 비용보다 낮은 톤당 약 5만 원선으로 체결된 것으로 전해지면서 비용 절감을 위해 적절한 처리 절차를 거치지 않은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조합원들과 업계 관계자들은 해당 자재가 순환골재 기준에 적합했는지 공공사업 기준에 맞게 처리되었는지에 대한 철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장에서는 비닐로 덮인 채 임시 보관된 토사 잔재가 확인됐으며 일부 차량의 적재량이 허위 신고된 정황도 제기됐다.
그러나 이러한 의혹들은 객관적인 조사 없이는 단정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조합원들은 공정한 조사를 위해 직접 시료 채취 과정에 입회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한 조합원은 “지금은 어느 한쪽 주장만을 믿기 어렵다. 직접 보고 확인하는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조합 차원의 신뢰 회복을 위해 투명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안을 특정 업체나 행정기관의 문제로 국한해서는 안 되며 도시개발사업 전반의 감시체계와 제도적 허점을 점검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성분 조사와 계약의 타당성, 행정 감독의 적절한 이행 여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시 정책적인 제도 보완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수사 본격 착수···시료 분석 결과 주목
광역수사대는 3월 31일 해당 의혹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으며 순천시청과 감리회사, 시공사, 조합 관계자들이 입회한 가운데 시료 채취가 진행됐다.
순천시 관계자는 “이날 53곳을 굴착하고 의심되는 7곳을 시료채취 했다”며 “분석 결과에 따라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일부에서는 “시료에서 뻘로 추정되는 물질이 나왔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다”는 전언이 있지만 공식적인 분석 결과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조합원 A모 씨는 “이번 사안은 단순히 흙의 문제가 아니라 개발사업의 신뢰성과 시민의 권익이 걸려 있는 문제“라며 “지금 필요한 것은 책임 공방이 아니라 원칙에 따른 조사와 제도 개선“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풍덕지구 도시개발사업의 투명성과 신뢰 회복 여부는 수사 결과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