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경정, 기량과 모터만큼 중요한 ‘코스’

NSP통신, 김종식 기자, 2025-02-24 17:09 KRX7
#경정 #국민체육진흥공단 #경정코스 #아웃코스 #심상철
NSP통신-미사리경정장에서 출전 선수들이 1턴 마크를 돌며 경합을 벌이고 있다. (사진 = 국민체육진흥공단)
미사리경정장에서 출전 선수들이 1턴 마크를 돌며 경합을 벌이고 있다. (사진 = 국민체육진흥공단)

(경기=NSP통신) 김종식 기자 = 경정에서 입상 여부를 가리는 가장 큰 요인을 꼽는다면 선수의 기량, 모터 등이 있다. 우선 선수의 기량과 모터의 성능이 가장 중요하고 이 못지않게 중요한 요소가 있으니 바로 코스다.

현재 경정은 배정받은 배번 그대로 코스에 진입해 경주를 펼치는 고정 진입 방식으로 열리고 있다.

그래서 선수의 기량과 모터의 성능이 조금 떨어지더라도 코스의 이점을 활용해 입상에 성공하는 때도 많고 반대로 기량이 뛰어난 강자라도 코스의 불리함을 극복하지 못하고 쉽게 무너지는 때도 있는데 이는 경정 경주만이 가진 독특한 매력이다.

G03-8236672469

경정은 6명이 모터보트에 탑승해 경주를 펼치는데 1~2번을 인 코스, 3~4번을 센터 코스, 5~6번을 아웃 코스로 나뉜다.

지난해 코스별 승률 기록을 살펴보면 1코스(37.4%), 2코스(22.8%), 3코스(16.3%), 4코스(12.4%), 5코스(7.7%), 6코스(3.4%)로 인 코스에서의 승률이 60%를 넘는 초강세를 보였다.

올해 초반 분위기도 대체로 비슷하게 흘러가고 있어 선수들이 인 코스를 배정받은 경주에서 승부수를 띄우는 경우가 많다.

또 거의 모든 정상급 강자는 인 코스를 배정받았을 때 입상에 성공하고 있다. 현재 10승을 거두며 다승 단독 선두를 달리고 있는 김완석(10기, A1)은 1~2코스 출전한 5번의 모든 경주에서 우승했고 신인급 중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펼치는 선수인 정세혁(15기, A2)도 총 4회의 인 코스 출전 경기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

다음 3~4번 센터 코스에 출전한 선수들의 승률은 30% 내외 수준으로 입상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빠른 출발을 앞세워 인 코스 선수들을 휘감기(바깥쪽 선수가 안쪽 선수를 밀어붙이는 식으로 선행해 바로 그 앞을 스치듯이 선회하는 방법)로 제압해 입상하거나 인 코스 선수들의 빈틈을 파고들며 찌르기(턴마크에서 안쪽 선수가 선회할 때 그 바깥쪽에 있던 선수가 안쪽으로 치고 들어가서 제치는 방법)로 입상에 성공하고 있다.

이때 출발에 강점이 있는 선수들은 휘감기를 선호하는 편이고 체중의 이점으로 직전에서 강점을 보이는 여자 선수들은 주로 찌르기로 입상하는 편이다.

마지막으로 승률 10% 내외 수준의 아웃 코스는 사실 그 어떤 선수라도 입상을 장담하기 쉽지 않은 코스다.

전반적으로 선수들의 출발 감각이 좋아지고 있어서 아웃 코스 선수들이 휘감기 전법을 사용해 입상하는 경우가 갈수록 드물게 나오고 있고 찌르기 전법도 진로가 막힐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결국 휘감아 찌르기(먼저 센터 코스의 선수를 휘감아 두고 다음으로 들어오는 인 코스 선수의 안쪽을 찌르는 전법)가 아웃 코스에서 그나마 입상 확률이 가장 높은 전법이다.

그런데 휘감아 찌르기를 성공하려면 일단 출발에서 뒤처지지 않아야 하고 턴 마크에서 빠른 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선회 능력도 갖춰야 한다. 여기에 어느 정도 모터의 성능 또한 받쳐줘야 하는 것도 필수다.

이러한 조건을 모두 갖추지 않는 이상 아웃 코스에서 입상에 성공하는 것은 분명 쉽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심상철(7기, A1), 김민준(13기, A1), 조성인(12기, A1) 같은 정상급 강자들이 대체로 아웃 코스 기록이 좋은 편인데 특히나 김민준은 지난해 5~6코스 모수 승률 30% 이상의 성적을 기록할 정도로 아웃 코스에 특화된 강자라 할 수 있다.

경정 전문가들은 “선수들 대부분이 자신의 경주방식에 맞는 주력 코스가 있고 그 코스를 배정받은 경주라면 평소보다 강한 승리욕과 집중력을 발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하며 “그렇다면 선수들의 주력 코스를 미리 숙지한다면 경주 추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