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경북도, 제57차 EDI 정책토론회 개최

NSP통신, 조인호 기자, 2023-09-22 15:27 KRX7
#경북도 #이철우도지사 #EDI정책토론회 #전국장애인경기대회

장애인고용 현안 이슈 논의와 정보교류의 장

NSP통신-장애인 고용 현안 이슈에 대한 논의와 학술정보 교류의 장인 제57차 EDI 정책토론회가 고용 관련기관, 장애인업무 종사자, 학계, 도민 등 1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21일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사진 = 경상북도)
장애인 고용 현안 이슈에 대한 논의와 학술정보 교류의 장인 제57차 EDI 정책토론회가 고용 관련기관, 장애인업무 종사자, 학계, 도민 등 1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21일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사진 = 경상북도)

(경북=NSP통신) 조인호 기자 = 장애인 고용 현안 이슈에 대한 논의와 학술정보 교류의 장인 제57차 EDI 정책토론회가 고용 관련기관, 장애인업무 종사자, 학계, 도민 등 1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21일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이날 토론회는 ‘제40회 전국장애인경기대회’ 부대행사의 일환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주관해서 개최됐으며, 장애인 고용의 다양한 이슈와 사례를 공유하고,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적 방향 모색을 위한 유익한 자리로 마련됐다.

조상미 중앙사회서비스원장, 임예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연구원, 김민석 경북도 정책실장, 밀알희망일터 박장원원장, 변민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선임연구원이 발제자와 토론자로 참여했다.

G03-8236672469

첫 발제자로 조상미 중앙사회서비스원장은 고용을 통해 성장과 선순환하는 지속가능한 복지로의 전환과 사회서비스 혁신을 통한 복지와 돌봄 서비스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두 번째 발제로 임예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은 양질의 장애인 일자리창출과 장애인 고용을 위해서는 기업체의 맞춤형 고용서비스 설계와 제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김민석 경북도 정책실장은 ‘생태계적 사회서비스와 장애인 지원정책’ 이라는 주제로 토론에 나서 대한민국은 출산율 저하, 부양비의 급속한 증가 등으로 지속성의 위기라며 건강한 생태계 회복을 위해 지방이 주도하는 지방시대가 해답이며, 수요자 중심 서비스 발굴과 품질개선 등 생태계의 확장성과 지속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위한 경북도의 주요 전략은 올해 개소된 △발달장애인 긴급돌봄 센터 운영 내실화 △최중증 24시간 지원의 상시 돌봄체계 구축 강화 △발달장애인 특성에 맞는 문화·예술 분야 맞춤형 공공일자리 발굴 △발달장애인 거점병원 조기설치 운영 등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경북도는 미래 생태계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장애인 인재육성과 디지털 기반으로 새로운 분야의 장애인 맞춤형 교육 및 취업 지원을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먼저, 올해 디지털기술 활용의 비대면 맞춤형 서비스인 △장애인 스마트 홈 케어사업과 신체기능과 정보부족으로 영유아(0~5세)육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여성장애인들을 위한 △여성장애인 양육서포터즈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도에서는 빅데이터에 기반한 ‘경북형 장애아동 디지털행동 치료서비스’ 를 2024년 과기부 공모로 추진하고, 전국 최초로 제정(8월)된 장애인드론 지원조례를 바탕으로 ‘장애인드론 교육지원’ 과 디지털 분야 특화 전문 인재양성을 위한 ‘장애인디지털훈련센터’ 를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적극 협력해 조속히 설치를 추진하는 등 수요자 중심 복지 서비스 제공을 통한 만족도 제고와 지속가능한 복지서비스 환경 조성에 더욱 힘써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밀알희망일터 박장원 원장은 중증장애인생산품우선구매 의무대상 기관을 확대하는 등 ‘일을 통한 복지 강화’ 를 주장했다.

끝으로 변민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선임연구원이 장애인 의무고용제도와 장애인 고용률, 고령화로 장애인 경제활동 인구 감소, 단순노무직에 편중된 장애인 직업에 대한 대책 등에 관한 토론으로 마무리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사회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장애인을 위한 더 좋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과 최선의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