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들어보니

금융권, “비교공시 실효성 없다” 아우성…신한·OK저축은행 최저순위에 ‘당황’

NSP통신, 강수인 기자, 2022-08-31 15:10 KRD2
#신한지주(055550) #비교공시 #예대금리차 #금리인하요구권 #OK저축은행
NSP통신- (은행연합회 금리인하요구권 운영실적)
(은행연합회 금리인하요구권 운영실적)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금융권의 예대금리차·금리인하요구권 수용률이 공개된 가운데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실무자들은 단순 수치평가에 의한 비교 공시 때문에 발생하는 착시효과 때문에 빗발치는 문의로 “마치 전쟁터 같다”며 “비교공시 공개는 실효성이 없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난 30일 은행연합회와 저축은행중앙회, 여신금융협회 홈페이지에는 ‘금리인하요구권 운영실적’이 공개됐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 저축은행, 카드사들의 올 상반기 금리인하요구권 신청건수, 수용건수, 이자감면액, 수용률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표로 정리돼 나열됐다.

금융당국에선 “이번 공시를 통해 소비자들이 거래은행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민낯이 밝혀진 금융사들은 “전쟁같은 하루”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G03-8236672469

실제 신한은행의 경우 금리인하요구권 수용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수용금액과 이자감면액은 타행 대비 압도적으로 많았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신한은행은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가계와 개인사업자의 금리인하요구권의 비대면 신청 시스템을 100% 가동하고 있어 신청건수와 함께 중복신청건수도 많기 때문”이라며 “대부분 신청일에 바로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하루에 50번 이상 신청한 고객의 사례가 대표적”이라고 말했다.

저축은행들도 몸살이다. 특히 저축은행의 경우 은행마다 신청건수의 차이가 상당하다. 그나마 앱(App)이 활성화된 SBI저축은행의 경우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금리인하요구권 신청건수가 1만건이 넘어가지만 더케이저축은행의 경우 가계대출 1건, 기업대출 0건으로 편차가 크다.

3대 대형 저축은행 중 비교적 금리인하요구권 수용률이 낮은 OK저축은행은 “금리인하요구권 수용 기준은 대출 심사처럼 은행 자율이라 각사마다 기준이 다르다”며 “금리인하요구권 수용률이 낮은 것은 신청 건수 자체가 낮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금리인하요구권 수용률’이라는 숫자만을 놓고 금융소비자들이 판단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 앱이 불편하고 고객응대를 안 하면 신청건수가 줄어들 수 있다”며 “신청 건수를 어떻게 카운팅 하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 같기도 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금융당국에서도 비교공시에 대해 실질적인 이자감면액을 중심으로 공시를 이해해야 한다고 했고 수용률 등 일부 애매한 수치들이 있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주 예대금리차 착시효과부터 이번 금리인하수용률까지 은행들은 내내 고생하며 전쟁같은 하루를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이뤄진 예대금리차 비교공시도 금융사들을 살떨리게 했다.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중저신용자 대출을 많이 취급한 은행들이 ‘예대금리차가 높은 은행’으로 불리게 된 것. 은행 실무자들은 “굉장히 예민한 문제”라며 “이러한 통계를 만드는 것 자체가 고통”이라는 반응이었다.

당시 토스뱅크와 전북은행은 중저신용자들과 금융소외계층 대출을 지원하다 보니 대출금리가 높아보인다는 입장을 밝혔고 금융당국도 “중저신용자 대출을 적극적으로 취급한 은행의 경우 평균적인 예대금리차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은행 실무자들은 “자세한 설명은 금융소비자들에게 의미가 없다”며 “결국 중저신용자 대출문이 막히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금융당국은 “은행권 줄 세우기 목적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결국 ‘1위 은행, 최저 은행’ 등의 제목을 단 보도들은 쏟아졌다.

또 금융당국은 “비대면신청이 활성화된 인터넷전문은행의 경우는 중복신청이 많아 수용률이 낮게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수용건수 및 이자감면액을 중심으로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즉, 금융소비자들은 왜곡될 가능성이 있는 정보를 접하게 되는 것.

이에 한 은행권 실무자는 “왜 이런식으로 실효성 없는 비교를 하는지 모르겠다”며 “이런식으로는 줄 세우기 밖에 안되기 때문에 기준이나 제도 자체를 손보긴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NSP통신 강수인 기자 sink606@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