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부천시, 일쉼지원센터 개소 100일 기념행사 추진

NSP통신, 김종식 기자, 2022-08-05 10:54 KRD7
#부천시 #조용익 #감정노동자 #쉼터

감정노동자가 만족하는 치유와 회복의 공간으로 자리매김 중

NSP통신-부천시 일쉼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부천시)
부천시 일쉼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부천시)

(경기=NSP통신) 김종식 기자 = 경기 부천시(시장 조용익)가 감정노동자의 치유와 회복을 위해 지난 4월 28일 전국 최초로 문을 연 부천시 일쉼지원센터가 개소 100일을 맞았다.

센터(센터장 김수정)는 개소 100일 기념행사를 다채롭게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센터 개소 후 100일간의 성과와 활동에 대해 지역사회에 알리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함께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개소 100일 기념으로 감정노동자 100명에게 찾아가는 ‘백일 떡 나눔 사업설명회’를 추진할 예정이다. 감정노동 당사자와 함께 센터 개소 100일을 축하하고, 일쉼지원센터의 다양한 사업을 소개한다.

G03-8236672469

센터 이음갤러리에서는 ‘일쉼지원센터 100일의 기록’ 전시를 오는 31일까지 진행해 100일간의 센터와 센터 이용자의 다양한 활동을 기록한 사진과 참여자 소감을 전시한다.

전시 기간 중 센터 이용자가 직접 참여해서 소감이나 축하 메시지를 남길 수 있는 부대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우선 오는 10일에는 일쉼지원센터 100일의 성과와 나아갈 방향을 주제로 지역에서 다양한 노동자 지원 사업을 담당하는 현장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한다. 100일간 센터 성과를 지역사회에 공유하고 전국 최초의 감정노동자 치유와 회복을 위한 전문시설로서 센터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과 기대, 협력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지난 100일간 센터는 감정노동자 프로그램 지원과 사업설명회, 인식개선 캠페인 운영으로 2920명의 부천시 감정노동자와 함께했다. 그 가운데 792명의 감정노동자는 코스형 회복프로그램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코스형 회복프로그램 따뜻한 돌봄은 감정노동자의 신체적 회복을 위해 회복코스, 자기 돌봄과 차담회, 수요자 맞춤 테라피 등 3가지 코스로 구성되며 1시간30분~3시간 프로그램으로 운영된다.

NSP통신-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참가자들 기념촬영 모습. (부천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참가자들 기념촬영 모습. (부천시)

24회에 걸쳐 진행된 코스형 회복프로그램의 참가자 만족도는 4.8점으로 매우 높다. 한 참가자는 “세심한 배려와 존중으로 힐링하는 프로그램이었다”는 참가 소감을 남겼다.

한편 센터는 감정노동자 지원 네트워크 구축과 센터 홍보를 위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 감정노동 종사자지원센터 등 10여 개 기관의 우수사례를 벤치마킹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지역의 다양한 기관과 협력으로 인식개선 캠페인 2회 진행하고 센터 홍보를 위한 사업설명회를 12회 개최했다.

이성종 감정노동전국네트워크 집행위원장은 “전국 최초로 조성된 부천시 일쉼지원센터가 감정노동자의 치유와 회복, 권익 보호와 인식개선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새로운 모델로서 성장과 발전에 큰 기대를 한다”고 밝혔다.

조용익 부천시장은 “개소 100일을 축하하며 일쉼지원센터가 100일 여정 동안 감정노동자의 마음의 안부를 묻고 보듬어주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해 가고 있어 뜻깊게 생각한다”면서 “부천시 일‧쉼지원센터가 감정노동자를 위한 회복과 치유의 공간을 넘어 감정노동에 대한 인식 개선, 감정노동이 존중받는 사회로 변화해 가는데 디딤돌 역할을 해달라”고 했다.

부천여성청소년재단이 위탁 운영하는 부천시 일쉼지원센터는 복사골문화센터 6층에 911.4㎡ 규모로 조성됐다.

센터는 감정노동자의 ▲심리·정서 문제해결 지원을 위한 치유 공간 ▲신체적 회복과 힐링을 위한 회복 공간 ▲휴식과 충전을 위한 쉼 공간 ▲건강증진과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공간 ▲소통과 참여, 인식개선을 위한 이음 공간 ▲센터 운영을 지원하는 운영지원실로 구성됐다.

NSP통신 김종식 기자 jsbio1@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