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외신, 한국 청년일자리 감소 책임 대기업 해외이전 때문

NSP통신, 임창섭 기자, 2012-05-01 16:22 KRD2
#파이낸셜타임즈 #한국 #청년일자리 #대기업 #해외이전

파이낸셜타임즈, 일본 중소기업 강하고 전문적...한국 중소기업 취약 대졸취업자들 꺼려

[서울=NSP통신] 임창섭 기자 = 한국의 대졸자들 대부분이 대기업 취업에 매달리면서 ‘대기업일자리 부족현상’이 한국의 가장 큰 난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주요 대기업들의 사업 해외이전이 이같은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파이낸셜 타임즈가 지적했다.

이 신문은 ‘일본은 강하고 전문적인 중소기업들을 둔 덕분에 중국의 부상을 어느 정도 이겨낼 수 있었지만 한국은 그렇지 못해 많은 대졸구직자들이 낮은 급여와 복지혜택을 이유로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Financial Times는 최근 ‘S Korea's graduates struggle in jobs market by Christian Oliver & Kang Buseong)’제하 기사에서 ‘한국의 대졸자 대부분 대기업 취업을 목표하고 있으며 현재 대기업 일자리 부족이 한국경제의 대표적 난제로 떠올라 있다’고 전했다.

G03-8236672469

‘한국의 30세 미만 공식 실업률은 8.3%로 전체 평균보다 2배 이상 높고 대학 진학률도 80%가 넘지만 대기업들이 제공하는 일자리는 전체의 10%에 불과한 실정’이라고 분석했다.

이 신문은 ‘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주요 대기업들이 점점 사업을 해외로 이전한다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그 예로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를 들었다.

삼성전자의 경우 중국 시안에 70억 달러 규모의 메모리칩 공장을 설립할 예정인 가운데 중국내에 이미 140여개의 생산 연구 유통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는 미국 러시아 인도 중국에 이어 최근 브라질에 공장을 연 상태이다.

여기에다 동남아시아로 사업체를 옮기는 대기업들까지 더해져 대기업 일자리들이 사실상 해외로 빠져나가면서 한국에는 ‘이태백(이십대 태반이 백수)’이라고도 불리는 청년 구직자들이 늘고 있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이 신문은 ‘한국은 빠른 성장을 통해 1950년대 이후 전쟁의 상처를 털고 일어날 수 있었으나 성장세가 힘을 잃은 지 오래’라며 ‘1970년대에는 대기업 활동에 힘입어 한국경제가 연 9%씩 성장했으나 지난해에는 3.6% 성장했고 올 1분기에는 전년동기비 2.8% 성장에 그쳤다’고 밝혔다.

‘이같은 성장률은 다른 나라들의 부러움을 살 만한 수준이나 이명박 대통령 취임 당시 약속했던 7%에는 한참 못 미치며 중소기업을 선호하게 만들기 위한 정부 정책들은 1980년대부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고 진단했다.

‘한국의 대기업들이 조선 중공업 등 분야에서 중국의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중소기업 부문의 경쟁력이 약하다는 것이 문제’라고 주장했다.

일본은 강하고 전문적인 중소기업들을 둔 덕분에 중국의 부상을 어느 정도 이겨낼 수 있었지만 한국은 그렇지 못해 많은 대졸 구직자들은 급여가 낮고 복지혜택이 더 적다는 이유로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는 것.

구직자들은 가능한 많은 기업에 원서를 내지만 막상 중소기업에서 면접에 오라고 하면 가지 않아 많은 중소기업들은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라고 분석했다.

이와관련 중소기업중앙회 임영주 씨는 “지난해 25만개의 중소기업 일자리가 임자를 구하지 못했으며 결원이 대기업보다 3배나 많다”며 “청년실업률이 8.3%에 달하는데도 중소기업들이 심각한 인력난을 겪는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라고 밝혔다

그는 ‘일각에서는 통계에는 좋은 일자리를 찾을 희망이 없어 상점에서 일하거나 공부를 계속하는 대졸자들이 반영되지 않아 실제로는 청년실업률이 이보다 더 높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정부는 중소기업 근로자들에게 보조금이나 세제혜택 등을 제공하는 정책을 통해 중소기업을 강화시켜야 한다”며 “이번 대선에서 일자리 질에 대한 불만이 정치적 쟁점으로 끓어오를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많은 청년들은 재벌에 대해 비판적인 안철수 교수가 짧은 정치경력에도 불구하고 대선 출마를 기대하고 있으며 안 교수도 “모든 사회적 문제의 근원은 일자리로 공식 실업률은 3.5%에 불과하지만 그것이 현실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라고 지적한바 있다는 사실을 적시했다.

임창섭 NSP통신 기자, news1@nspna.com
<저작권자ⓒ 국내유일의 경제중심 종합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