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윤민영 기자 = 대규모 전면철거 사업을 시행하기 어려운 지역의 주민이 스스로 노후주택을 정비하는 자율주택정비사업이 전국에서 본격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한국감정원이 지난해 4월 개소한 통합지원센터에 100건 이상의 사업신청이 접수됐다.
올해 들어 벌써 35건 이상의 사업신청이 이루어졌고 사업성분석을 거쳐 이중 15건 이상의 주민합의체 구성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김학규 한국감정원 원장은 “자율주택정비사업이 노후주거지 재생의 디딤돌 역할을 톡톡히 해낼 것이며 앞으로 사업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사업초기에는 사업대상지가 수도권에 집중됐지만 최근 부산과 대전을 비롯한 광역지자체에서도 사업신청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부산의 경우 사업가능지역을 지자체 조례로 녹지지역을 제외한 도시지역(주거·상업·공업 지역)으로 확대함으로써 보다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난해 9월 착공한 제1호 사업지인 서울 당산동 자율주택정비사업은 다음달 초 준공 예정이다.
자율주택정비사업은 토지비와 공사비를 합한 총사업비의 50%~70% 한도 내에서 연 1.5%의 금리로 기금융자를 받을 수 있으며 미분양 리스크 저감을 위해 LH 또는 소규모정비 임대리츠가 일반 분양분 선매입을 지원한다.
또 자율주택정비사업은 사업비 융자, 일반분양분 매입지원 등 국토교통부의 공공지원을 받는 노후주거지 도시재생의 핵심수단이며 통합지원센터는 상담·접수, 사업성분석, 주민합의체 구성, 사업시행인가, 사업비융자 지원 등 사업진행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NSP통신/NSP TV 윤민영 기자, min0news@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