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11월 둘째 주, 매매가0.02%↓·전세가0.04%↓

NSP통신, 윤민영 기자, 2018-11-15 14:09 KRD7
#한국감정원 #매매가 #전세가 #아파트가격 #송파헬리오시티
NSP통신- (한국감정원 제공)
(한국감정원 제공)

(서울=NSP통신) 윤민영 기자 = 한국감정원(원장 김학규)이 2018년 11월 둘째 주(12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는 0.02%, 전세가는 0.04% 각각 하락했다.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0.02%=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보합에서 하락으로 전환됐다.

G03-8236672469

지역별로 수도권(0.04%→0.02%)은 상승폭 축소, 서울(0.00%→-0.01%)은 하락 전환, 지방(-0.04%→-0.05%)은 하락폭이 확대됐다.

시도별로는 대전(0.18%), 전남(0.10%), 대구(0.10%), 광주(0.08%), 등은 상승, 울산(-0.26%), 충북(-0.19%), 경남(-0.17%), 경북(-0.16%), 강원(-0.12%), 부산(-0.08%), 전북(-0.04%) 등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68→63개) 및 보합 지역(20→19개)은 감소하고 하락 지역(88→94개)은 증가했다.

NSP통신- (한국감정원 제공)
(한국감정원 제공)

▲서울: -0.01%=9.13대책 효과 등으로 관망세가 짙어지며 강남4구를 비롯해 급등했던 단지를 중심으로 하락 전환됐다.

▲강북권: +0.02%=꾸준한 직주근접 수요로 종로·중구와 경전철 등 개발호재가 있는 강북·성북구 등은 소폭 상승세를 보였지만 서북권(은평(0.00%)·마포(0.00%)·서대문구(-0.01%))은 GTX-A 사업지연 우려 및 급등피로감 등으로 보합 또는 하락했다.

▲강남권: -0.03%=대다수 지역 관망세인 가운데 영등포·금천구는 상승폭이 낮았던 일부 단지 중심으로 소폭 상승했지만 강남4구는 재건축 단지 하락세와 급매물 출현으로 모두 하락했다.

동작구는 신규아파트 입주로 기존아파트 매물 증가하며 하락했다.

▲경기: +0.03%=김포(+0.29%)는 강서구 인접 지역과 김포도시철도(2019년 하반기 개통 예정) 역세권 단지 등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수요가 생기며 상승세를 지속했다.

부천(+0.18%)은 양호한 교통여건(지하철 1·7호선, 소사원시선)과 GTX 등 광역교통망 개발사업 기대감 등으로 상승세를 지속했다.

▲지방(-0.05%)=5대광역시는 보합을 유지했으나 8개도(-0.10%)와 세종(-0.04%)은 하락했다.

전남(+0.10%)·순천시(+0.19%)는 신규입주단지 인근은 관망세지만 정주여건이 양호한 일부 지역에서 상승했다.

광양시(+0.12%)는 신축 소형 위주로, 나주시(+0.10%)는 한전 인근 단지 등을 중심으로 상승했다.

충북(-0.19%)·충주시(-0.64%)는 미분양물량은 감소 추세지만 노후단지를 위주로 하락했으며 청주시(-0.13%)는 신규공급 증가 및 매물 누적으로 하락세가 지속됐다.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0.04%=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 하락폭을 유지했다.

지역별로 수도권(-0.05%→-0.03%)은 하락폭 축소, 서울(-0.03%→-0.03%)은 하락폭 유지, 지방(-0.04%→-0.05%)은 하락폭이 확대됐다.

시도별로는 세종(1.27%), 대구(0.05%), 광주(0.03%) 등은 상승, 울산(-0.24%), 충북(-0.20%), 제주(-0.18%) 등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41→48개)은 증가하고 보합 지역(43→41개) 및 하락 지역(92→87개)은 감소했다.

NSP통신- (한국감정원 제공)
(한국감정원 제공)

▲수도권: -0.03%=서울은 0.03% 하락, 인천은 0.01% 하락, 경기는 0.04% 하락했다.

▲강북권: -0.01%=성동구(+0.07%)는 신규입주아파트 매물 소진으로 소폭 상승했지만 종로(-0.01%)·중구(-0.03%)는 하락 전환되고 마포(-0.05%)·서대문구(-0.10%)는 하락폭이 확대됐다.

▲강남권: -0.04%=영등포구(+0.08%)는 역세권 중심으로 상승 전환됐지만 강남4구(-0.06%)는 헬리오시티 등 입주(예정)물량 증가 및 주요 재건축단지 이주 마무리로 하락세가 지속됐다.

▲지방: -0.05%= 5대광역시(-0.03%)·8개도(-0.10%)는 하락, 세종(+1.27%)은 상승했다.

5대광역시(-0.03%)는 하락폭을 유지했으며 8개도(-0.10%)는 하락폭이 확대됐다.

세종(+1.27%)은 상승폭이 축소됐지만 BRT 및 정부청사 인근과 대전 출퇴근이 양호한 단지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NSP통신/NSP TV 윤민영 기자, min0news@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