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NSP통신) NSP인사 기자 = 최근 일본을 비롯해 세계적으로 크고 작은 지진이 발생하며 국내에서도 지진발생시 원전안전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높다.
원전을 이웃한 주민들 입장에서는 당연히 안전에 대한 염려가 클 것이라 생각이 되어 원전은 지진에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원전을 건설할 때는 부지 조사 단계에서 주변의 단충 등, 지질 구조와 과거 지진 등을 고려해 예측 최대지진 값을 선정한 후 여기에 안전여유도를 감안하여 내진 설계 값을 정한다.
내진설계란 앞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잠재 지진에 구조물이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의미하며, 부지 조사 시 반경 320km 이내 단층과 과거 50만 년 안에 2회 이상 단층활동(활성단층)이 있었는지 등을 검토한다.
안전 설계기준은 기존 원전의 경우 0.2g(리히터 규모 6.5) 천지원전1,2호기는 0.3g(리히터 규모 7.0)로 설계했다.
원자력발전소는 지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단단한 암반 위에 건설하며, 원자로 건물 바로 아래에서 리히터 규모 6.5∼7.0의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안전하게 정지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원자로 건물이 지진에 뒤틀리지 않도록 1.2m(천지원전 1.5m)두께의 철근 콘크리트 내진 벽으로 건설한다.
또한 원전의 중요 기기와 설비에 지진 감시 설비를 설치 운영하고 있는데 0.01g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는 비상발령 및 원자로정지, 안전 관련 설비 정밀점검을 실시하며 비상계획에 따른 조치를 취하도록 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지진발생 후 비상디젤발전기가 정상적으로 가동되어 안정적인 냉각을 유지했으나, 이후 발생한 쓰나미에 의해 발전소가 침수되면서 전력 공급이 끊겨 중대사고로 진전됐다.
동일부지 내에 있든 5, 6호기는 사고호기(1∼4호기)에 비해 높은 부지에 위치하여 쓰나미에 의한 중대 사고를 방지 할 수 있었다.
이는 사고의 원인이 지진이 아닌 쓰나미에 의한 비상발전기의 전원 상실임을 말해 주는 것이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후 쓰나미와 같은 자연재해에 대비하기 위해 천지원전의 경우 해수면 위 약 20m 높이(기존발전소 약 10m)의 부지에 발전소를 건설하고, 정전 시에도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비상발전기를 추가 했으며, 발전소보다 높은 위치에 이동형 발전차를 배치하고, 주요시설에 방수문설치 등 여러 안전대책을 추가했다.
후쿠시마 원전 침수사고 이후 국내원전에도 충분한 안전시설을 갖추었으나 그보다 중요한 것은 종사자의 안전의식일 것이다.
한순간도 방심 없이 원칙과 절차를 준수 할 때 안전은 확보 될 것이며 원전의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제 안전을 넘어 안심을 추구할 때이다. (글 : 이재원 한수원 천지원전건설준비팀장)
본 기고/칼럼은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모든 책임은 정보 제공자에게 있습니다.
NSP통신/NSP TV people@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