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NSP통신) 서순곤 기자 = 여수시의회 박성미 의원(돌산·남면·삼산)은 17일 제244회 임시회에서 여수시 농어촌 청년 지원 정책, 지역 특산물 육성 및 판로 확대를 주장했다.
박 의원은 “여수 농어촌이 고령화와 인구 유출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귀어·귀촌 청년들의 정착에 현실적인 장벽이 크다”며 “초기 투자 부담, 농지 확보 어려움, 어촌계 가입 장벽 등 다양한 문제를 고려해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기존 어민들이 멘토 역할을 하여 청년들이 임대 시설을 활용해 상품 개발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필요하지만 현재 체계가 미비해 청년들이 빚더미에 오르는 사례가 많다”고 우려했다.
이와 관련해 광양·순천의 청년 임대 스마트팜과 충남의 청년 창업형 임대 양식장 사례를 언급하며 “여수시도 청년들의 초기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정착을 돕는 정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기명 시장은 이에 대해 “2026년까지 21억 원을 투입해 스마트팜 10개소를 조성하고 양식장 임대 사업 및 청년 어업인 정착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답했다.
또 박 의원은 여수지역 농어업인들의 안정적인 판로 확보를 위한 대책도 제시했다. 현재 운영 중인 직거래 장터의 규모와 횟수가 제한적이라 지역 농어업인들이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크다고 지적하며 “지역 내 생산과 소비를 연계하는 지산지소 체계 구축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직거래 장터 운영을 강화하고 상설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덧붙였다.
이어 고수온·저수온 등 기후 변화에 따른 어류 폐사 문제를 언급하며 기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어종 개발과 양식 기술 연구를 강화하고 직거래 장터의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또한 농산물 가공센터 운영 미비로 청년 농업인들이 창업과 상품 개발 등 소득 창출의 기회를 얻기 어렵다고 강조하며 가공 장비 확충과 운영 개선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정 시장은 “현재 로컬푸드 직매장 7개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농특산품의 해외 판로 개척을 추진 중”이라고 답했다.
이어 “농업인들이 별도 직거래 장터 확대를 희망할 경우 읍·면별 직거래 장터 운영을 위한 시설 지원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박성미 의원은 “돌산갓, 남면 방풍, 거문도 해풍쑥 등 여수 지역 특산물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국제슬로푸드 및 맛의 방주 인증 활용을 촉구하며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