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NSP통신) 최병수 기자 = 포스텍(포항공대, 총장 김도연) 화학공학과 박사과정 김경학씨, 한정우 교수팀은 KAIST 정우철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고질적인 문제점인 스트론튬이 나오지 않는 방법을 제안해 이 분야 연구자들에게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연료전지의 장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고 20일 밝혔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일반적인 전기의 발전 생산방식과 달리 수소와 산소를 직접 분해해 전기 에너지를 얻으며 에너지 효율이 80% 정도인데,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발전 동력장치의 에너지 전환율이 40% 정도인 점을 생각하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고체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전기를 생성하는 반응을 위해서는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하는 데다 고온에서 산소를 환원시키며 전자를 생성시키는 공기극에 변형이 생겨 산화물 표면에 스트론튬(Sr)이란 물질이 새어 나오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전지의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상용화가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스트론튬이 새어 나오지 않아 높은 내구성을 가진 연료전지용 공기극 소재 개발을 위해 100여 편의 관련 논문리뷰와 자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트론튬 석출 현상과 표면 편석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을 규명했다.
또 최적의 연료전지용 공기극 물질을 설계하기 위한 7가지의 방법론을 제시했다.
이 방법론이 실제로 적용되면 연료전지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가격을 낮추고 전지 수명 증가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 연구하는 전 세계 연구자들에게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게 된 점도 의미가 있다.
이 기술이 상용화가 된다면 발전소, 전기자동차, 인공위성 비상전력 등 독립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공급을 해야 하는 곳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소규모로 적재적소에 설치할 수 있어서 송전 비용도 아낄 수 있고, 또 산소와 연료의 분해로 전기를 만들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다.
한정우 교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친환경적이고도 고효율의 에너지 변환장치로 열화현상으로 스트론튬이 석출되는 등 안정성 저하의 구체적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게 돼 이를 통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상용화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 연구는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NSP통신/NSP TV 최병수 기자, fundcbs@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