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NSP통신) 김대원 기자 = 대한민국 대표 교통수단 KTX가 1일 개통 21주년을 맞았다.
1일 한국철도공사 대구본부에 따르면 2004년 개통한 KTX는 21년간 동대구역에서 2억 5천만 명을 싣고 전국 각지를 누볐다. 236만 대구 시민 수로 나누면 한 사람당 연간 5번 KTX를 탄 셈이다.
대구본부 연간 KTX 이용객은 2004년 657만 명에서 2024년 2250만 명으로 3.4배 가까이 늘었고 KTX 정차역은 1개역(동대구)에서 7개역(동대구,서대구,김천구미,경주,포항,경산,영천)으로 증가했다.
서울, 부산역에 이어 전국 세 번째로 KTX 이용객이 많은 동대구역의 하루 평균 KTX 이용객은 3만 7천명으로 올해 들어 가장 많이 이용한 날은 지난 3월 1일(삼일절 연휴) 8만 8천명이었다.
대구의 발전은 동대구역과 함께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6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동대구역은 2004년 4월 KTX 개통과 역사 증축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췄고 2016년 동대구복합환승센터가 문을 열며 철도와 고속·시외버스, 대구지하철이 하나로 묶여 지역 교통의 중심으로 거듭났다.
KTX 개통 당시(2004년) 동대구역의 1일 86회였던 KTX 운행횟수가 25년 현재 210회로 2.4배 가까이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동대구역을 이용하는 열차 이용객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것을 알 수 있다.
21년간 함께한 KTX와 더불어 지난해 연말 및 올해 초 개통한 광역철도 대경선(경산~구미), 중앙선(영천~도담), 동해선(포항~삼척)으로 인해 동대구역에서 강원·경북권으로의 접근도 편리해졌다. 철도와 지역의 중심인 동대구역의 진화가 또 한번 기대된다.
원형민 코레일 대구본부장은 “올해 21살이 된 KTX는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서 지역경제와 문화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시속 320km로 맞이할 KTX의 미래가 더욱 주목된다”며 “코레일은 앞으로도 안전하고 편리한 역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