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윤하늘 기자 =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탈 많은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DLF, DLS)에 대해 상품의 설계부터 판매까지 합동조사와 함께 실태 점검과 관련 분쟁 조정을 추진한다.
19일 금감원이 발표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 판매현황 및 대응방향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국내 금융회사의 주요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DLF, DLS) 판매잔액은 총 8224억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금융사별로 보면 우리은행이 4012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KEB하나은행(3876억원), 국민은행(262억원), 유안타증권(50억원), 미래에셋대우증권(13억원), NH증권(11억원) 순이었다.
전체 판매잔액의 99.1%(8150억원)가 은행에서 사모형태(DLF)로 판매됐고 나머지(74억원)는 증권회사에서 판매(사모 DLS)됐다.
이 중 개인투자자가 3654명으로 투자한 금액은 7326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판매잔액의 개인투자자 비중은 89.1%를 차지했고 법인(188사)은 898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구조를 살펴보면 기초자산은 영국과 미국의 CMS 금리, 독일국채 10년물 금리로 구성됐다.
영국과 미국의 CMS 금리 연계상품 판매잔액은 6958억원으로 지난 7일 기준 판매잔액 중 5973억원(85.8%)이 손실구간 진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만기까지 현재 금리 수준이 유지될 경우 예상 손실 금액은 -3354억원으로 평균 예상손실률은 56.2%로 전망된다.
독일국채 10년물 금리 연계상품 판매잔액은 1266억원으로 7일 기준 판매금액 전체가 손실구간에 기진입한 상태다. 현재 금리가 만기인 올해 9월에서 11월까지 유지시 예상 손실 금액은 -1204억원으로 평균 예상손실률은 95.1% (만기쿠폰 지급 미감안)로 보인다.
이에 금융당국은 해당 파생결합상품의 제조와 판매 등 실태파악을 위한 합동검사 추진한다. 금감원은 “구조가 복잡하고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는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이 금융회사를 통해 다수의 개인 투자자들에게 판매됐다”며 “투자자 입장에서 이해가 쉽지 않고, 일부 상품의 경우 레버리지가 높아 만기시 손실률이 90%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해당 파생결합상품의 설계부터 판매에 이르게 된 전 과정과 관련 내부통제시스템을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해당 상품의 판매사(은행 등), 발행사(증권사), 운용사 등을 대상으로 관련 검사국이 연계해 이달 중 합동검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또 금융당국은 불완전판매 관련 원활한 분쟁조정 추진한다. 지난 16일 기준 금감원에 접수된 분쟁조정 신청건은 총 29건으로 검사와 병행해 분쟁조정 관련 민원 현장조사를 실시하겠다는 입장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장조사 결과 등을 통해 불완전판매가 확인될 경우 법률 검토, 판례, 분조례 등을 참고해 분쟁조정을 신속히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은 글로벌 경기하락 가능성, 미‧중 무역분쟁, 홍콩시위 등으로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금융당국은 금리, 환율, 유가 등을 기초로 한 파생결합상품 등 고위험 금융상품의 발행 및 판매에 대한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NSP통신 윤하늘 기자 yhn2678@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