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지난달 전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전월 대비 3조 4000억원 증가했다. 전월 대비 증가폭은 줄었다. 다만 토지거래허가구역 완화 영향이 오는 4월부터 본격 반영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9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25년 3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전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4000억원 증가해 전월(4조 2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다.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증가한 만큼 기타대출이 줄어든 영향이다.
주택담보대출은 전월 대비 3조 4000억원 증가했다. 은행권 주담대 증가폭은 3조 4000억원으로 전월(2조 2000억원) 대비 축소됐다. 제2금융권 주담대 역시 증가폭이 1조 5000억원에서 1조 1000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은행권 가계대출 중 디딤돌·버팀목·보금자리론 등 정책성대출은 2조 8000억원에서 1조 5000억원으로 증가폭이 줄어든 반면 은행 자체 주담대 증가폭은 6000억원에서 7000억원으로 확대됐다.
반면 기타대출은 전월 대비 증가폭이 3조원 감소해 전월(7000억원) 대비 감소폭이 확대됐다. 이는 신용대출이 감소세로 전환된 영향이다.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주재로 열린 ‘가계부채 점검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지난 2월 신학기 이사수요 등으로 다소 큰 폭으로 증가했던 주택담보대출은 3월 들어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고 분기말 부실채권 매·상각 등에 따른 대출 잔액 감소효과가 더해지며 3월 중 가계대출 증가세가 상당폭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다만 지난 2월 서울 일부 지역의 규제 완화 이후 부동산 거래 증가로 인한 주담대 승인물량은 아직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참석자들은 “강남 3구 등 서울 주요 주거선호지역을 비롯해 일부 지역의 부동산 시장 동향 및 지역별 4~5월 중 가계대출 증감 추이를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권 사무처장은 “가계대출이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3월 부동산 규제 재시행 이전 활발하게 이뤄진 주택거래는 다소 시차를 두고 가계부채 통계에 반영되는 만큼 4월 이후가 향후 가계대출 관리에 있어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으로의 풍선효과가 나타나는지 여부를 국토부 등 관계기관과 함께 면밀히 살펴보고 금융권과 함께 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은행권도 가계대출 증가 상황에 따라 필요시 자율관리를 강화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임을 밝혔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