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이창용, 한국경제에 쓴소리 “고통있어도 새산업 발굴해야” 구조조정 역설

NSP통신, 강수인 기자, 2025-02-25 13:13 KRX2
#이창용 #부동산 #구조조정 #금리인하 #성장률

이창용 “내년 1.8%도 어려운 상황…한국경제의 실력”
이창용 “부동산이 아닌 신성장에 자금 흘러야”

NSP통신-25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기준금리 인하 결정 이후 통화정책 방향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 한국은행)
25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기준금리 인하 결정 이후 통화정책 방향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 한국은행)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우리나라의 경제와 산업구조를 포함해 쓴소리를 내놨다. 그러면서 “내년도 성장률 1.8%를 받아들여야 한다”며 구조조정의 필요성 대해 강조했다.

25일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기준금리 인하 결정 이후 통화정책 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내년도 성장률 1.8%를 받아들여야 한다”며 “그것이 우리의 실력이라고 생각하고 더 높은 성장을 하려면 구조조정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앞서 한은은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올해 1.5%로 기존 1.9%에서 0.4%p 낮춰 잡았고 내년도는 1.8%로 유지했다.

G03-8236672469

이에 대해 이 총재는 “내년도 1.8% 성장률은 괜찮은 성장률”이라며 “전 세계적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수출이 어려워졌고 경기가 악화된 가운데 우리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과거 고도성장에 익숙해 있어서 1.8%의 성장률이 위기라는 인식이 퍼져있지만 그동안 구조조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또 기존의 산업에만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는 산업을 키우지 않고 지금 고령화되고 있는 사회에서 해외노동자를 데려오지도 않아 노동력은 떨어지고 기존 산업은 경쟁이 힘든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1.8% 이상의 성장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면서 할 수 있는 방안이 재정 동원하고 금리를 낮추는 것인데 그렇게 되면 가계부채가 올라가고 부동산 가격이 올라가고 재정이 이상해져 나라 전체가 더 어려워진다”며 “그것이 우리의 실력이고 더 높은 성장을 위해 단기적으로 어렵더라도 구조조정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1.8%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라 굉장히 많은 수단을 동원해 이 전망치를 더 올려야 한다는 것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부동산에 대해서도 문제를 지적했다. 이 총재는 “부동산 PF에 자금이 상당히 묶여있는데 과거 우리가 새산업을 개발하기 보다는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했고 은행도 대출을 많이 해줘서 자금이 다 부동산에 가 있기 때문에 지금 조정하고 있는 국면”이라며 “이제는 부동산이 아니라 신성장하는 쪽으로 돌아가도록 도와줘야 하기 때문에 부동산에 대해 너무 많이 투자된 것이 지금 연착륙 되도록 구조조정 하는 과정에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구조조정 없이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며 “건설업을 다 살려서 이 문제를 해결하게 되면 과거의 잘못을 반복하는 것이라 부동산 연착륙에 관해서는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추경의 일부를 부동산 PF 구조조정에 쓰이는 것은 굉장히 바람직하다”며 “지나 10년 간 새 산업이 도입되지 않은 것은 우리 정부가 가장 뼈아프게 느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새 산업을 도입하려면 창조적 파괴가 필요하고 누군가는 고통을 받아야 하는데 그 사회적인 갈등을 감내하기 어려워 피하다 보니 새 산업이 하나도 도입되지 않았다”며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이런 문제는 계속 반복된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