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집중호우, 폭염 등 기상여건 악화와 함께 글로벌 식량 공급에도 차질이 발생하며 식료품발 물가 불안 가능성이 제기된다. 특히 식료품비 인상으로 인한 저소득층 가계부담이 증가될 수 있어 식료품물가의 흐름과 영향에 대한 면밀한 점검이 요구된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내외 식료품물가 흐름 평가 및 리스크 요인’에 따르면 최근 우리나라에서 집중호우, 폭염, 태풍 등 기상여건 악화로 채소·과일 등 농산물 가격이 전월 대비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데다 기상이변, 흑해곡물협정중단, 일부 국가의 식량수출 제한 등이 겹치면서 식료품 물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내 식료품물가 추이를 보면 최근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웃돌고 있으며 팬데믹 이후 현재까지 누적된 가격 상승도 소비자물가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주요국에서도 지난해 이후 식료품물가 상승률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크게 상회하는 높은 수준을 지속하면서 식료품발 물가 불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유로지역에서는 러·우 전쟁에 따른 공급 차질의 직접적인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데다 인건비 등 투입비용 상승이 더해지며 식료품 물가 상승률이 올해 들어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으며 최근 역내 인플레이션의 약 35~40%를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로 원재료 수입의존도가 높은 식료품의 가격 상승률이 여타 품목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등 글로벌 요인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글로벌 요인으로는 팬데믹에 의한 공급병목, 러·우 전쟁 이후 곡물·비료 공급 차질, 각국의 식량 수출 제한(인도 포함 19개 곡물 수출국에서 25개 품목에 대해 수출 제한 조취 취함), 이상기후 등이다.
국제 식량가격은 국내 가공식품 가격 및 외식물가에 시차를 두고 파급되는데 국제식량가격과의 시차상관관계를 보면 가공식품은 11개월 후에, 외식물가는 8개월 후에 최대로 나타나며 국제식량가격 급등기에는 파급시차가 단축되는 경향이 있다.
가공식품 등 식료품과 외식물가의 경우 하방경직성과 지속성이 높고 체감물가와의 연관성도 높아 기대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향후 국내물가의 둔화 흐름을 더디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한은은 “가계지출 중 식료품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가계부담이 증대되고 실질 구매력이 축소될 수 있는 만큼 향후 식료품물가의 흐름과 영향을 면밀히 점검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