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이복현 기자 = 세계 경제계는 올 하반기 코로나 2차 대유행에 따른 세계경제 더블딥 우려와 함께 향후 글로벌 무대에서 아시아의 부상을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전세계 주요 18개국 대표 경제단체 및 국제기구·경제협의체 세계경제단체연합(GBC: Global Business Coalition) 소속 경제단체, APEC 기업인자문위원회(ABAC: APEC Business Advisory Council) 회원 기관·기업 대상를 대상으로 실시한 ‘A.D.(After Disease) 1년, 포스트-코로나 세계 전망’ 조사다.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경제 회복 예상 양상에 대해 각국 경제단체들은 올 가을·겨울 코로나 2차 대유행과 이로 인한 2차 락다운을 예상하는 더블딥(W자형) 시나리오를 가장 많이 꼽았다(52%). 이로 인해 2022년 하반기가 되어서야 세계경제가 완전 정상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에 대해서는 응답국가의 52%가 -4% 이하의 마이너스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해 IMF의 예측(올해 세계경제성장률 -3%)보다 비관적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국의 실업률에 대해서도 -10% 이하로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전체 응답국가의 40%를 차지했다.
국제이동이 제한되고 언택트 경제가 확산되는 현 상황에서 대면 비즈니스가 가능해지는 시점은 내년 이후가 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절반 이상(56%)이었다. 올해 하반기 내 국가 간 이동 가능은 24%만이 가능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불확실성이 커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응답도 20%에 달했다.
세계 각국은 코로나19 이후 기존 통상체제의 지각변동을 전망했다. 응답 국가의 약 40%가 북미·유럽이 경기침체에 직면하는 한편, 아시아 국가들이 상대적으로 도약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1995년 이후 세계경제질서를 이끌어 온 WTO 체제 기반의 기존 통상환경이 파괴되는 역사의 변곡점이 도래했다는 응답도 31.3%를 차지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다자무역 중심 국제 통상의 변화에 대하여 응답 국가의 절반은 지역별 경제블록 국가 간 양자 FTA, EU, USMCA, CPTPP 등 중심으로 세계무역질서 판도가 재편되면서 결과적으로 WTO를 무력화(48%)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WTO를 대체·보완하는 새로운 무역협정기구에 대한 논의가 시작될 것으로 보는 시각도 20%에 이르렀다.
한편 코로나19 영향으로 세계 각국이 중국 등 해외생산기지 의존도를 줄이는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응답 국가의 76%는 자국 산업계에서 중간 이상의 리쇼어링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아 코로나 이후 글로벌 가치 사슬의 변화가 더욱 뚜렷해 질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현재의 전세계적 인력 감축은 록다운 기간 동안의 한시적 현상으로 경제 재오픈시 점차적으로 고용이 회복될 것이라는 응답(52%)이 대다수로, 1년 이상 장기적인 대규모 인력감축과 실업(20%), 본격적이고 전면적인 생산 자동화·무인화 시대로의 전환(8%)보다 많아 다소 희망적인 전망을 보였다.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기업들과 접촉이 많은 주요국 경제단체에서 느끼는 코로나19 경기침체 체감이 예상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코로나 이후 세계경제에서 아시아의 부상을 세계경제계가 예측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이 선두에 나설 수 있도록 우리 기업과 정부에서는 글로벌 산업재편에 대한 대비를 해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NSP통신 이복현 기자 bhlee2016@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