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대성그룹,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 개최

NSP통신, 최병수 기자, 2021-09-28 16:23 KRD7
#대성그룹 #대성해강미생물포럼 #김영훈회장 #대구시

팬데믹 및 기후변화 등 글로벌 위기에 지속가능한 대안 제시

NSP통신-2021대성해강미생물포럼에서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대성그룹)
2021대성해강미생물포럼에서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대성그룹)

(대구=NSP통신) 최병수 기자 = 대성그룹(회장 김영훈)은 28일 조선호텔에서 코로나 바이러스와 대규모 자연재해를 초래하는 기후변화 등 글로벌 위기 극복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바이오 분야의 현재와 미래 가능성을 조망해 보는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 을 개최했다.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미생물 기술 (부제: 탄소중립과 글로벌 팬더믹 위기 대응’ 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 에서는 미생물분야 최고의 석학들이 인류를 위협하는 또 다른 감염병과 이미 발등에 불이 떨어진 시급한 문제인 기후변화 해결을 위한 새로운 미생물 기술들을 소개하고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올해로 4회째를 맞는 대성해강미생물포럼은 강연과 토론 등 세미나를 현장행사와 동시에 온라인으로도 생중계하는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진행됐다.

G03-8236672469

주요 연사로는 바이오소재 및 단백질 생산을 위한 가스발효기술의 대표 과학자인 ▲독일 튀빙겐 대학의 라스 앤게넌트(Lars Angenent)교수를 비롯해, 마이크로바이옴 재설계 기반 혁신 의약 기술에 기여하고 있는 ▲싱가폴국립대학의 매튜 욱 장(Matthew Wook Chang) 교수, 온실가스를 활용한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연구 개발로 특허를 출원한 ▲경희대 화공생명공학과 이은열 교수, 미생물 유전체 및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분야의 선도 과학자로 농식품부 미생물유전체 전략연구사업단을 이끌고 있는 ▲연세대 시스템생물학과 김지현 교수가 주요 연사로 참가했으며, 시스템 및 합성 생명공학 분야 권위자인 KAIST 조병관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이번 포럼에서는 특히 바이오 분야의 혁신 스타트업인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연구개발 기업 ㈜에이투젠의 강지희 대표와 신경회로 기반 뇌질환 신약개발 회사인 뉴로토브의 김대수 대표가 각각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발굴 플랫폼 & 프로세스와 파킨슨 병 및 전증을 위한 차세대 뇌 치료제에 대해 공개해, 실제 미생물 의료 과학의 산업적 가치를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다는 평가다.

이 밖에도, 화이트바이오 관련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신진 과학자들을 위한 별도의 세션도 마련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인 이대희 교수는 미생물 대사공학을 위한 합성생물학을, 전남대 생명기술학부 염수진 교수는 생명체 플라스틱 생분해를 위한 신규 생촉매 발굴 및 개발 등의 연구 실적 등을 발표했다.

대성그룹 김영훈 회장은 “다양한 학문과 융합된 미생물 공학은 기후변화와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고령화 사회의 건강문제는 물론, 인류의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다”며 “바이오경제 시대에 주도권을 잡고 국가 산업경제의 지속가능성장을 실현하기 위한 정부의 전폭적 지원과 함께 민•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시장을 확대하고 기술에 대한 권리가 보호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대비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바이오, 특히 청정에너지로서의 미생물 공학의 가능성과 중요성에 대해 남다른 열의를 가진 대성그룹의 김영훈 회장이 미생물포럼을 처음 기획한 2017년에는 카이스트의 이상엽 교수를 필두로 행사를 진행했다.

이상엽 교수는 세계 최초로 미생물을 통한 ‘시스템 대사공학’을 창시한 세계 바이오공학 분야의 대가로 당시 ‘미생물 대사공학을 이용한 다양한 자연화합물 생산과 관련 생산성 확보 방안’을 발표해 큰 주목을 받았다.

2회째인 2018년에는 오늘날 크게 주목 받고 있는 합성생물학 기반의 바이오 부탄올 관련 기술과 미생물을 활용한 상업용 연료 생산 발효 플랫폼, 그리고 온실가스 메탄을 바이오 연료 및 화학소재로 바꾸는 미생물학적 전환기술 등을 소개했었다.

3회째인 2019년에는 미생물 연료전지의 최첨단 기술 분야와 유전자가위기술과 같은 화이트바이오의 근간이 되는 원천기술 등이 소개돼 호평을 받기도 했다.

NSP통신 최병수 기자 fundcbs@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