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경기도, 가정대기확진자 건강관리 홈케어시스템 운영

NSP통신, 김병관 기자, 2020-08-24 16:48 KRD7
#경기도 #가정대기확진자 #건강관리 #홈케어시스템 #코로나홈케어

의사, 간호사, 공무원 구성…의료인이 하루 한 번 전화로 건강상태 확인·상담

NSP통신-24일 임승관 경기도 코로나19 긴급대책단 공동단장이 정례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
24일 임승관 경기도 코로나19 긴급대책단 공동단장이 정례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

(경기=NSP통신) 김병관 기자 = 경기도가 코로나19 확진환자 급증에 따른 병상부족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가정대기 확진자를 위한 홈케어시스템을 25일부터 운영한다.

병상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이번 주 안으로 생활치료센터 2곳을 추가 개소한다.

임승관 경기도 코로나19 긴급대책단 공동단장은 24일 정례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G03-8236672469

가정대기 확진자에 대한 가정건광관리서비스인 홈케어시스템 운영단은 의사, 간호사, 공무원 등으로 구성되며 24시간 운영할 계획이다.

홈케어시스템은 확진 후 가정대기자의 건강 상태를 의료인이 전화를 통해 하루 한 번 확인하고 상담하는 시스템으로 설계됐으며 이미 지난 3월 개발된 전산 플랫폼을 활용해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계획이며가정 대기자는 의학적 우선순위에 따라 병상 배정팀과 연계해 관리된다.

또한 도는 고양시 일산동구 소재 삼성화재 글로벌캠퍼스와 안성시 원곡면 소재 한국표준협회 인재개발원에 총 783명의 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생활치료센터를 이번 주 중 개소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임 공동단장은 이어 코로나19 환자 급증으로 병상이 부족하다며 “공공병원의 의료 인력 소진은 이미 한계에 달해 민간 의료기관들의 도움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24일 0시 기준 경기도는 총 14개 병원에 571개의 확진자 치료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현재 사용 중인 병상은 97%인 554병상이다.

NSP통신-경기도 시군별 인구 10만명당 확진자 현황 그래프. (경기도)
경기도 시군별 인구 10만명당 확진자 현황 그래프. (경기도)

최근 사랑제일교회 등 여러 곳에서 집단 유행이 늘어나면서 생활치료센터의 입소중인 환자의 약 10%가 유증상으로 병원으로 이송되고 있어 병상 부족이 절대적으로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임 단장은 생활치료센터 확충 노력과 병행해 의료기관의 정식 병상 확보에도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의료 인력, 특히 간호사가 매우 부족한 상황으로 ‘경기도 긴급 의료지원단’에 자원해 줄 것을 당부했다.

경기도는 지난 18일부터 의료관련 전문 자격증 소지자로 참가를 희망하는 의료전문인을 모집하고 있으며 필요인력 확충을 위해 상황 종료시까지 지속할 계획이다.

지원자는 그 지역, 여건, 경력에 따라 감염병 전담병원, 생활치료센터, 가정대기자를 위한 홈케어 시스템 운영팀 등에 배치할 계획이며 중대본 지침에 따른 활동 수당을 지급한다.

NSP통신-전국 시도별 인구 10만명당 확진자 현황 그래프. (경기도)
전국 시도별 인구 10만명당 확진자 현황 그래프. (경기도)

23일 오후 3시 기준 의사, 간호사 등 총 133명의 의료인력이 접수를 희망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참가를 희망하는 의료전문인들은 도 콜센터, 경기도청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도시군 자원봉사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24일 0시 기준 경기도 확진자수는 전일 0시 대비 89명 증가한 2631명으로 도내 24개 시군에서 확진자가 발생했다.

신규 확진자는 성북구 사랑제일교회 관련 25명, 광화문 집회 관련 9명, 안양 샐러데이즈 관련 3명, 여의도순복음교회 관련 3명 등이며 이중 감염원인 불명 환자는 11명이다.

지난 17일부터 일주일간의 확진 추이를 보면 총 639명의 확진자가 발생했으며 이중 60세 이상 고령층이 37.6%인 240명이고 감염원인 불명 환자는 83명으로 전체의 약 13%였다.

그 전 일주일의 확진 추이를 보면 총 335명의 확진자가 발생했으며 이중 38.2%인 128명이 60세 이상 고령자이고 원인불명은 4.8%인 16명이었다.

NSP통신 김병관 기자 inspect1234k@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