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SP통신 특별기획 - 2025년 제21대 대통령선거

6·3 대통령선거 D-44

NEWS

[NSP PHOTO]김동연 지금까지 해온 것처럼 도정에 한 치 빈틈없도록 일해달라
김동연 “지금까지 해온 것처럼 도정에 한 치 빈틈없도록 일해달라”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도 공무원과 공공기관장들에게 선거 국면에 돌입하더라도 한 치의 빈틈없이 적극적으로 일해달라고 당부했다. 김동연 지사는 8일 오후 4월 도정열린회의에서 “내일 공항에서 짧게 트럼프 관세 문제 대응을 위한 출국 인사와 출마선언을 하려고 한다”며 “지사직을 갖고 하기 때문에 여러분에게 지금까지 해온 것처럼 도정에 한 치의 빈틈이 없도록 일을 해달라는 부탁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필요한 의사결정이 있으면 김성중 행정부지사를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해달라”면서 “정말 중요한 문제라서 지사에게 보고 내지는 상의할 것이 있다면 김 부지사와 핫라인이 되어 있으니 보고를 할 것이다. 그렇게 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공공기관장들을 향해서도 “조금도 위축되거나 소극적으로 하지 마시고 소신껏 김성중 부지사와 실국장과 잘 협조해서 오히려 더 잘 돌아가서 지사가 없어도 되겠네 하는 얘기가 나올 정도로 해주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김동연 지사는 미국 자동차 완성차 3대회사인 GM, 포드, 스텔란티스 소재지인 미시건주에 2박 4일(9~12일)간 머물며 관세외교에 나설 예정이다.
정치/사회 | 2025-04-08 18:39:08 KR
[NSP PHOTO]전남도, 대선 앞두고 미래발전 공약 75건 발표
전남도, 대선 앞두고 미래발전 공약 75건 발표
전라남도가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전남의 미래를 이끌 75건의 공약과제를 발굴해 8일 공개했다. 도는 이들 과제를 각 정당과 대선 후보들에게 건의해, 국가 정책과 대선 공약에 반영되도록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이번에 발표한 과제는 전라남도가 전남연구원과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지역의 신성장 동력 확보를 목표로 마련한 ‘전남 미래발전 중대형 프로젝트’이다. 도는 이를 통해 전남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지방소멸 위기 극복에 나선다. 총 75건의 공약 과제는 ▲핵심 지역공약 20건 ▲분야별 지역발전 과제 35건 ▲제도 개선 및 국정 제안 과제 20건으로 구성됐다. ▲미래 견인할 핵심공약 20건주요 핵심 과제로는 △전남 국립의과대학 설립 △석유화학·철강산업 대전환 메가 프로젝트 △솔라시도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구축 △조선·해양 AI 초격차 자율제조 특구 조성 △에너지 고속도로 기반 에너지 신도시 조성 △우주발사체 산업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 △무안국제공항 중심 초광역 교통망 확충 등이 있다. 또한 △AI 기반 첨단 농축산업 클러스터 △K-GIM(김) 국가전략산업 클러스터 △남해안 글로벌 해양·관광·문화 거점 조성 등의 신산업 프로젝트도 포함됐다. 특히 전남·광주·전북이 공동 추진 중인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을 위한 인프라 구축 계획도 제시됐다. △호남권 메가시티 고속도로(고흥목포) 등 초광역 SOC 사업과 △재생에너지 전력계통 확보를 위한 에너지고속도로 사업이 포함됐다. ▲분야별 지역발전 과제 35건 전남도는 5대 분야에서 총 35건의 지역발전 과제를 제안했다. 신성장동력: 미래항공모빌리티 연계 초광역 항공인프라 구축, 글로벌 해저환경 전력계통 개발 등 9건 SOC: 여수국가산단 진입도로(이순신대교) 국가관리, 해상교량 국비 지원 등 5건 미래농어업: K-wine 산업 클러스터, 저탄소 스마트 농업 인프라 확충 등 7건 관광·문화·휴양: 국가대표 제2선수촌 건립, 2031 국제정원박람회 유치, 국립 고흥 다도해 산림치유원 조성 등 8건 인구·복지: 청년 특화구역 및 외국인 특화지역 조성, 국립청소년디딤센터 건립 등 6건 ▲국정과제 반영 위한 제도 개선 20건 전남도는 국가 차원의 제도 개선과 국정 운영과제로 다음과 같은 20건을 제안했다. △국가 출생기본수당 신설 △농어민 공익수당 국가 정책화 △인구소멸지역 필수의료 기반 확충 △전남형 만원주택 전국 확대 △비수도권 벤처기업 특례 강화 △산지 쌀값 안정화 △농업소득안정기금 및 직불금 10조 원 확대 등이다. 윤진호 전남도 기획조정실장은 “전남이 가진 비교우위 자원과 여건을 바탕으로 미래 세계적 트렌드에 부합하는 중대형 프로젝트를 고르게 선정했다”며 “각 정당과 후보자들에게 적극 건의해 대선 공약으로 반영되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정치/사회 | 2025-04-08 16:10:32 KR
G01-7888933544
arrow_upw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