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용인시 포곡읍 할미산성, 6세기 축조된 산성으로 확인돼

NSP통신, 김병관 기자, 2018-09-07 14:29 KRD7
#용인시 #할미산성 #발굴조사성과 #사진자료집 #백군기

2011년부터 2016년 발굴조사 성과 담은 사진자료집 발간

NSP통신-할미산성 건물지 전경. (용인시)
할미산성 건물지 전경. (용인시)

(경기=NSP통신) 김병관 기자 = 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 선장산(할미산)에 석축으로 조성된 ‘용인 할미산성’은 6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용인시(시장 백군기)는 한국문화유산연구원과 지난 2011~2016년 5회에 걸쳐 진행한 할미산성 발굴조사 결과 출토된 유물 대부분이 6세기 전반 또는 중후반의 것이며 7세기 이후 유물은 거의 출토되지 않았다고 7일 밝혔다.

또 이는 삼국시대 신라가 한강유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면서 축조한 성곽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G03-8236672469

할미산성은 포곡읍 마성리 산41번지 일원에 길이 651m의 테뫼식(봉우리에 테를 두르는 형식)으로 축조됐다.

6~7세기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과정과 경로를 밝힐 수 있는 가치가 인정돼 2007년 경기도 기념물 2015호로 지정됐다(지정면적 7만3504㎡ : 문화재 구역 2만6196㎡‧보호구역 4만7398㎡).

이에 시는 지난 2009년 할미산성 종합정비계획을 세우고 2011년부터 2016년 5차례에 걸쳐 총 19억원을 투입해 1만6550㎡를 발굴조사했다.

발굴조사 결과 할미산성 내부에서 집터에 해당하는 수혈주거지(竪穴住居址) 63기를 비롯해 원형 수혈유구 42기, 팔각형‧장방형 건물지 9기, 대형 집수시설, 물길이 있는 수구지, 흙바닥 저장공간인 토광 등이 확인됐다.

또 고배(高杯, 높은 잔), 개(蓋, 뚜껑), 철촉, 철부(鐵斧, 도끼), 방추차(紡錘車, 가락바퀴)등 다양한 종류의 신라 시대 유물이 다량 출토됐다.

대부분의 유물들은 신라의 한강 유역 진출 초기에 해당하는 6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할미산성으로부터 서쪽으로 2㎞ 떨어진 보정동 고분군(사적 제500호)의 신라 석실분 조성시기와 일치해 신라가 세력 확장시기에 할미산성 일원을 매우 중요시 한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팔각형 건물지 3기가 할미산성 내부의 중앙부를 따라 배치돼 제의적 기능이 강조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군사적 기능을 기본으로 행정적 치소의 기능이 있던 한강유역의 다른 산성들과는 차이가 난다.

또 성벽의 둘레가 651m로 다른 산성에 비해 작지만 수혈주거지 63기와 대형 집수시설 2기 등 유구들이 밀집된 것으로 나타나 지형 상 대규모의 성곽을 세울 수 없었지만 전략적 가치는 높았던 것으로 평가했다.

시는 이 같은 발굴조사 성과를 담은 ‘용인 할미산성 발굴조사 도록’ 500부를 발간했다. 도록은 ‘용인 할미산성 6년의 기록, 그리고 사람들’을 부제로 국배판(23㎝x30㎝) 270쪽 분량으로 사진 395컷을 담았다.

이 도록은 용인시 내 유적 발굴과 관련한 최초의 사진자료집으로 할미산성에 대한 시민의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도록을 도서관, 박물관, 공공청사 등에 배부하고, 중앙도서관 홈페이지 향토자료란에 게재해 온라인에서 상시 열람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NSP통신/NSP TV 김병관 기자, inspect1234k@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